홀로 앉아 금琴을 타고 샘터 우리문화 톺아보기 2
이지양 지음 / 샘터사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특별한 계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나는 우리 음악을 즐겨듣는 편이다. 오히려 요즘 가요나 최근 유행 음악들보다 우리음악에 더 친근함을 느낀다.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나름대로는 국문학 전공에 우리 음악을 하는 풍물패 생활을 했던 것이 우리 음악과 가까워지는 이유가 되었던 것 같기도 하다.

 

가요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생각해보자. 그들은 시시때때로 음악을 듣는다. 듣다보니 더 좋아지고 좋아하다보니 자주 듣는다. 우리 음악이라고해서 다를 바 없다. 듣다보면 자연스레 더 즐기게 되는 것이다. 다만 한번 들어보는 것이 힘들 뿐. 어느 것이라고 해서 다를 바 없다. 모든 것이 처음이 낯설지 두번 세번은 익숙해지는 법이니까.

 

아이와 함께 자주 찾는 공연장이 있다., 부산국립국악원. 자주 가서 듣고 보고 하다보니 아이도 우리 음악에 거부감이 없다. 애써 찾아서 듣지는 않을지라도 들을 때 흥을거리거나 감상을 조금 할 수는 있다. 이왕이면, 공부도 좀 하고 들으면 쉽다. 귀에 쏙쏙 들어온다. 클래식도 그렇지 않은가? 쉬운 설명을 곁들인 클래식이나 오페라 같은 것들이 유행하는 까닭일 터이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선택했다.

옛 글 속의 우리 음악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책은, 제목이 참 마음에 든다. 홀로 앉아 금을 타고....라....

 

담헌 홍대용 선생은 <대동풍요서(大東風謠序)>에서 우수한 노래란 어떤 것인지를 첫머리에 이렇게 서술해두었다. "노래란 그 정(情)을 말하는 것이다. 정(情)이 말에 움직이고 말이 글에 이루어지는 것을 노래라 한다. 기교의 빼어남과 졸박함을 버리고 선함과 악함을 잊은 채, 자연을 따르고 타고난 개성과 감성을 발하는 것이 '노래의 우수함'이다"라고. (p35)

책에는 우리 옛 음악가들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모차르트니 베토벤이니 하는 서양 작곡가들에 대해서만 줄기차게 배워온 터라 우리 음악가들의 이름은 낯설기만 하다. 인기작곡가이자 명연주자였던 김성기는 조선 후기 우리 음악사에 있어 핵심인물 중 하나이다. 실학자 유득공의 일가이기도 한 유우춘은 해금연주가였고, 가객 송실솔도 있다. 이들이 낯선 것은 우리가 잘 접하지 못해서일터. 이제라도 그들의 이름과 그들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어서 참 좋았다.

 

그런가하면 악기의 내력도 밝히고 있는데, 쌍절금, 옥퉁소같은 악기가 나온다. 나도 가끔은 아이와 함께 공연을 보러 가서 잘 모르는 악기에 대해 아이가 물어볼 때가 있는데, 그때마다 인터넷 검색의 힘을 빌리곤 한다. 이렇게 한번쯤 책을 통해 접한 정보는 두고두고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책에는 여러 가지 설명글도 좋지만, 함께 볼 수 있는 옛 그림과 글들이 있어서 더욱 좋다. 옛날의 악기나 노래 음악이 지금처럼 파일이나 동영상같은 것으로 남아 있지 않으니 그 원형을 제대로 알기는 어려우나 그때의 풍속이나 행사를 그려놓은 그림을 통해, 또는 글을 통해 미루어 짐작이 가능하다. 김홍도의 《평양감사향연도》중 <부벽루연희도>의 세부도나 <숙종 37년 조선통신사 행렬도> 같은 그림을 보면 우리 악기와 그 배열을 살펴볼 수 있다.

 

3장에 이르면 우리가 자주 접했던 글도 볼 수 있다. 도산십이곡이라든가한산섬 같은 시. 물론 국어시간에 시험을 위해 배운 게 다인지라 이렇게 해석을 곁들여 읽으니 더 쉽게 이해가 된다. 5장에 이르러 판소리까지 읽고 나니 이제는 우리 음악과 좀더 가까워진 느낌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이제는 아는 만큼 들리는 것을 경험할 차례인가싶다.

 

이런 류의 책을 일부러 선택해서 읽을 사람이 몇이나 될 지는 모르겠다. 다만 가끔은 나의 관심사가 아니어도 골라서 읽어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