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14.4
샘터 편집부 엮음 / 샘터사(잡지)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월간 샘터... 4월호.

샘터의 표지그림이 참 마음에 든다. 매월 정해야 하는 특집 기사만큼이나 표지에도 얼마나 많은 고심이 들어갔을까? 패션지나 문학지가 아니어서 그런가, 매번 접하는 표지 그림은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마치 나 좀 보러와요 하고 손짓하는 꽃들같다. 짙은 꽃분홍색이 가슴을 설레가 한다.

 

봄은 봄인데, 왜이리 날이 추운지.. 아직도 겨울옷들이 옷장에 걸려있다. 봄을 시샘하는 꽃샘추위라 하기에는 좀 길다. 낮과는 일교차도 커서 옷 입기 참 애매한 계절이다. 이 찬 바람이 멎고 나면 금방 여름이 올 것이다. 그래서일까? 짧은 봄을 어떻게 하면 잘 보고 즐길까 고민도 된다.

 

나는 먼 거리는 아니지만, 짧은 시간에 다녀올 수 있는 곳을 선호한다. 남들 다 있다는 운전면허도 없어서 애들 아빠가 쉬는 날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대중교통에 의지해야해서 더 그러하다. 3월에는 계속 바깥 나들이를 했더니, 몸이 피곤한지 어제는 잠도 많이 오고. 아, 잠과 봄은 꼭 세트로 오더라.

 


이번 4월호에 나를 움직인 한마디에 이현세님의 글이 실렸다.

늘 나를 붙잡던 양인자님의 글은 이번호에선 나의 눈길을 슬쩍 비켜갔다. 요네하라 마리의 글을 대부분 다 읽어봤기 때문인지, 양인자님의 글보다는 나의 느낌이 더 강하게 남아있어서일 것이다.

 

"나는 영원히 싸우는 자유로운 의지이다."

만화가와 화가의 길을 두고 고민하던 그에게 이 글귀가 마음에 탁! 들어왔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스스로 운명을 결정하는 주체가 될 수 있었다고 한다.

나는 아직 내 마음을 움직인 글귀라고 내세울 만한 것이 없다. 아니, 글귀뿐만 아니라 뭔가 전환을 이루어줄 계기를 못 만난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고보면 큰 굴곡없이, 변화없이 그렇게 살고 있는 내가 어쩌면 심심한 인생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뭔가를 결정해야 하는 시기가 왔을 때, 나를 붙잡아 줄 것은 무엇일까? 괜시리 궁금해진다.



짧은 거리의 여행을 자주 하는 나에게 해남 땅끝마을은 좀 먼 곳이다. 십여년 전, 지금은 남편인 된 친구녀석이 밤 늦게 전화를 해서는 땅끝마을에 와 있다고 전했었다. 그때야 별 감흥이 있었겠나, "뭐한다고 그까지 갔노?? 툭! 한마디 던진 기억이 있다.

 

땅끝마을에도 봄이 왔다고 한다. 꽃망울들이 하나 둘 꽃을 피워내고 사람들을 유혹한다. 개인적으로는 매화를 그닥 좋아하지 않아서 매화축제하는 곳은 가본 적이 별로 없다. 부산 가까운 우너동에서도 지금은 매화축제가 한창이라는데..난 왜 그리 흐리멍청한 매화꽃 색이 싫을까? (사실, 매화꽃은 안좋아해도 매실은 좋아한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시기보다 축제를 피해 방문하면 더 좋다는 말이 이해가 된다. 가끔 꽃 축제를 가면 꽃보다 사람이 더 많은 것에 지쳐 돌아오곤 하니 꽃이 눈에 보일 리 없다. 농사에 방해되지 않는 시기라면 축제를 피해 이번에는 매화꽃 핀 곳도 들러볼까 싶다. 허드러진 벚꽃이 유혹하기 전에 ^^



샘터에는 여러가지 꼭지가 있지만 내 눈을 사로잡는 꼭지들은 늘 일정하다.

독자들이 보낸 글이나, 짧은 에세이가 대부분이지만, 이렇게 고정 연재되는 꼭지들은 늘 볼거리를 제공한다. 밥상 그림도 옛날 어렸을 때 우리집 밥상을 보는 느낌이 들어 한참을 들여다보게 되었다.

요즘도 저렇게 밥상을 차려놓고 사람을 기다리는 곳이 있을까?

 

어울리지 않게 미술에 관심을 보이는 나를 두고 지인은 이렇게 말했다. 항상 관련서적들을 보시는데, 많이 아시나봐요.. 아, 모르니까 보지...--;; 사실 나는 그림이나 조각 자체보다는 그 뒷이야기에 끌린다. 결국은 이야기에 끌리는 것이다. 나는 예술작품을 어떻게 대해야 할 지도 잘 모르겠고, 저 작품이 왜 그렇게 유명한지, 때로는 왜 그렇게 비싼지 ^^ 이런 것도 잘 모른다. 다만 그 작품에 얽힌 이야기를 듣다보면 그것이 재미있어서 보게 된다.

 

샘터에도 그런 꼭지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그림과 조각의 한판 승부라는 제목으로 찰스 1세의 3명 초상화가 나왔다. 찰스 1세? 음..얼마 전 읽었던 어린이용 판타지 소설에 찰스 1세 시절이 배경이었던 것 같다. 한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가들과 후원자들의 관계를 읽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제는 빠지지 않고 챙겨 읽게 되는 샘터의 마지막 뒷면.

모험심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조직을 결성하고 그 조직을 통해 원하는 바를 이루어가는 리처드 브랜슨 경의 이야기가 지금의 내 고민을 조금은 해결해 줄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 것 같다.

 

이 작은 책 한 권으로 나는 4월을 준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