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이는 이제 아홉살이다.

내 나이 먹는 것만큼이나 깜짝 깜짝 놀라는 게 아이가 나이 먹는 것이다.

이제 아홉살이니 한솔이와 나의 단독생활이 어느 정도 보장되어야하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안고

어제는 한솔이와 아빠가 무주 스키장에 가고, 나는 삼랑진 숲속도서관 토끼와 옹달샘에 갔다.

아빠 회사에서 1년에 한번 저도 가족동반이 가능한 1일 여행을 가는데, 그게 어제였다.

한솔이가 태어난지 8년만에 처음으로 따라가게 되었고, 나는 결혼 10년차지만 아직 한번도 간 적이 없다.

 

내가 일하는 도서관은 삼랑진에 숲속도서관을 하나 더 운영하고 있는데, 숙박이 가능하여 가끔 가게 된다. 어제는 한솔이 없이 홀가분하게 삼랑진으로 갔다.

 

그러나 새벽 4시에 출발한 한솔이가 무주에 도착할 때까지 끊임없이 엄마가 보고싶다는 문자와, 전화, 영상통화가 걸려왔고, 스키를 타는 동안은 잠잠한가 싶더니,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되자 또 울먹이면서, 혹은 징징대면서 문자와 영상통화폭격.

저녁 8시. 결국은 엄마가 없으면 안된다는, 아빠의 "집에 왔으면 좋겠다"는 문자를 받은 후, 삼랑진 기차역으로 출발. 밤 8시부터 10시 30분까지 기차가 없어서 약 2시간 가량을 기차역에서 책을 읽으며 기다렸다. 작은 역이라 그런지 사람도 없고, 텅빈 대합실은 춥기만 했다. 그곳에서 읽은 책은 최재천의 과학자의 서재. 8시에 기차역으로 나온 건 뒷풀이를 위해 음주가 시작되던 시간이라, 더 이상 지체하다간 차편이 없어 술이 들어가기 직전의 참여자에게 부탁하여 그 차로 기차역에 온 것이다. (운전을 못한다는 건 이래서 여러모로 불편하다. 대중교통에 의지하기에는 시골마을은 교통불편지역이다)

 

 

과학자의 서재를 읽은 것은, 급하게 도서관에서 나오면서 시간을 때울 수 있는 책을 골라나온 것. 아, 그런대로 속도감 있게 읽힌 책이었다.

 

기차시간을 알리는 전광판에도 아무 것도 표시되지 않은 삼랑진 기차역에서 홀로 책을 읽으며 기다리기를 두시간. 부산가는 기차를 탄건 10시 40분. (이 기차가 9분이나 연착을 했다.) 부산에 도착한 건 11시 20분이 다 된 시각.

 

스키장에서 돌아와 한솔이가 부산역에 도착한 건 11시경. 어쨌든 시간은 맞았고, 우리는 집으로 함께 들어왔고, 샤워를 한 후 12시 30분이 넘어서야 잠자리에 들었다. 올해도 엄마와 한솔이의 독립은 불가능한걸까? 이제는 웬만하면 우리 따로 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