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네 살, 비밀과 거짓말 (문고판) 네버엔딩스토리 10
김진영 지음 / 네버엔딩스토리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열네 살.

몇 권 안 읽은 청소년 소설들 중 열네 살의 아이가 주인공인 소설이 2-3권 된다. 열네 살은 어떤 나이일까? 학령을 기준으로 봤을 때 이제 막 중학생이 된 나이가 열네 살이다. 초등학교에서는 가장 큰 어른처럼 행사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되면 또다시 막내가 되는 나이, 아이와 청소년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드는 나이가 아닌가 싶다. 요즘은 사춘기도 빨리 온다하니 사춘기의 특성으로 바라보기에는 어중간한 나이지만,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여러 감정이 혼재하는 시기기도 해서 혼란스러운 시기인 것은 맞다.

 

하리의 비밀과 거짓말. 비밀이 있으면 거짓말을 하게 마련. 거짓말을 하면 또 다른 비밀이 생기게 마련이다. 열네 살 하리의 비밀과 거짓말은 아슬아슬하다. 우연히, 자신이 의도하지 않았지만 물건을 훔치게 된 하리(하리의 말대로 그건 훔친 게 아니라 주운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물건을 잃어버린 주인이 눈앞에 있는데도 모른 척 가져온다면 그건 주웟지만 훔친 것이 될 수 있다.)는 그 일로 인해 예주와 얽히게 된다.

 

좋아하는 친구에게 준 선물이 하필 주운(훔친) 물건이란 걸 들키지 않기 위해 또 다른 물건을 훔치는 하리의 모습과, 하리의 엄마가 일하는 곳에서 이것저것 남몰래 가져오는 버릇이 있다는 것이 겹쳐지면서 조금 작위적이란 느낌도 들었다. 하리의 거짓말이 멈추어지는 것은 가족간의 화해가 이루어지고 난 다음이다.

 

솔직히 나는 청소년 소설이 가족 간의 문제에서 조금 벗어낫으면 하는 마음이 있다. 모든 문제행동 뒤에는 그런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가족'이 있다는 생각이 머리 속에 남을 것 같아서이다. 실제로 다 그런걸까?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 사건 뒤에도 꼭 가족(혹은 가정)의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것처럼 이야기한다. 물론, 한 개인의 인성이 가정 안에서 많이 형성될 수 밖에 없겠지만, 그것이 모든 것의 원인이 되는 것처럼 비춰지는 것이 싫다.

 

비밀이 거짓말을 낳고 거짓말이 비밀을 낳는다. 이것은 비단 한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암묵적인 비밀이 눈속임을 낳고 그 눈속임을 유지하기 위해 또다른 비밀을 만들어내는 것과도 통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최근의 한국사회의 정치가 보여주는 행태가 떠오르는 것은 그래서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