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황옥, 가야를 품다 푸른도서관 38
김정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오래된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의문이다. 가야의 왕비가 아유타국의 공주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나는 깜짝 놀랐다.

국제화, 세계화시대라는 지금도 국제결혼은 쉽지 않은데, 서로간의 왕래도 어려웠을텐데 어떻게 그런 일이 있었을까?

이런 나의 의문은 국사가 하나의 암기과목에 불과했던 내 학창시절에는 별 도움이 안되는 의문이었다.

 

얼마전에 텔레비전에서는 김수로왕을 다룬 드라마가 방영되었지만, 나는 역사드라마를 거의 보지 않는 관계로 거기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알 지 못한다. 그래도 허황옥과 김수로의 만남과 왕과 왕비가 된 사건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내심 궁금해지기도 했다.

 

역사에서 잠깐 언급된 이야기, 혹은 역사가 기록하지 않은 이야기들은 풍부한 상상력으로 채워 이야기를 만들 수 있는 꺼리가 된다. 때로는 그것이 누군가의 심기를 건드릴 수도 있고, 때로는 상상력이 감추어진 역사의 진실에 다가가기도 한다. 어찌되었건 이 소설은 김수로왕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하나의 에피소드로서의 허황옥이 아니라 아유타국에서 먼 가야까지 와서 살게 된 허황옥, 아유타의 공주 라뜨나의 이야기이다.

 

얼마전에 나는 김해민속박물관에 갔을 때 허황옥상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김해장군차의 유래에 대한 설명 속에서도 허황옥을 만날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은 후라서 그랬을까? 낯설지 않게 여겨졌다. 

 


가야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는 김해에서 가야인의 숨결을 느끼며 이 책을 한번 더 떠올렸다. 

 

아유타의 공주 라뜨나는 위기 속에서도 기지와 지혜를 발휘할 수 있는 여인으로 그려진다. 전략적 결혼을 피해 아유타국에서 배를 띄워 도망을 치는 그녀는, 자신의 탈출로 인해 고통받을 아유타국의 운명을 알고 있기에 더욱 강해지는 듯하다. 또한 그녀를 지켜주는 주변 인물들의 도움도 크다. 어린 라뜨나가 지혜와 기지를 가진 여성으로 성장하기까지 주변인물들의 도움은 큰 힘을 발휘한다. 라뜨나가 가야에 정착하여 살아가면서 가야사람들의 신임을 얻는 것은 자신이 아닌 남을 위한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어느 곳에 가든, 그곳에 이미 정착해 살고 있는 사람들의 공동체에 섞여 들어가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라뜨나가 가야 사람들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했던 행동들은 가식도 아니었고, 진심으로 마음에서 우러나온 행동이었다. 그러나 착한 마음씨를 갖고 있다고 해서 가야의 왕비자리에까지 오를 수는 없다. 라뜨나의 통찰력은 지도자로서 손색이 없다.

 

허황옥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세계를 무대로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이 열린 마음과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를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