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엔 까미노 - 산티아고로 가는 아홉 갈래 길
장 이브 그레그와르 지음, 이재형 옮김 / 소동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가끔, 무작정 걷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어떨 때는 이런 생각조차 없이 걷고 있는 나를 보기도 한다. 걷는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걷는다는 것은 길을 떠난다는 의미와도 통한다. 나는 어디를 걷고 있으며 어디로 가는 걸까? (혹은 어디로 가기를 원하는걸까?)

 

산티아고로 가는 순례길은, 최근 들어 많이 회자되는 듯하다. 어쩌면 제주 올레길의 유행 또한 이것과 같은 이유가 아닐까 싶다. 순례길은 말 그대로 순례자의 길이다. 그렇지만, 요즘은 순례라는 의미를 떠나서 걷고 싶은 곳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곳이 산티아고로 가는 길이 아닐까. 처음의 목적대로 종교적 이유로 떠나는 사람들의 길이 관광지화되면서 이제는 종교가 아니라 각자의 목적을 가지고 떠나는 길이 되었다. 순례자들이 걸음으로써 만들어진 수많은 길들이 각각의 색깔을 갖고 존재한다. 떠나는 자들의 목적이 다양해진 것처럼.

 

오직 도보로만 완성되는 순례길이기에 일체의 잡념도 내가 붙잡혀있는 현실도 방해를 하지는 못한다. 떠난 자의 자유로움을 만끽할 수 있는 길이다. 언제였더라. 지리산을 모르면서 화엄사에서 노고단까지 힘겹게 걸어올라갔는데, 자동차를 타고 온 사람들을 만났을 때 느꼈던 허탈감. 지금은 그것이 허탈해야 할 이유가 아니란 걸 알지만 그때는 그랬다. 산티아고로 가는 순례길은 모두가 걷는 길이고, 걸어야만 완성되는 것이기에 의미가 있다.

 

산티아고로 가는 아홉 갈래 길을 소개하는 이 책 속에는 글만큼이나 많은 사진이 있다. 각 길에서 만난, 아니 각 길을 걷고 있는 순례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그리고 그 길을 특징짓는 풍경들이 나타난다. 나는 산티아고로 가는 길에 올라서지 않았지만, 사진을 통해 그 길을 걷는다. 산티아고를 걷는 사람들이 쓴 책들은 그들의 여정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고됨과, 감상이 어우러져있다면 이 책은 조금 메마른 편이다. 그렇다고 여행안내책자는 더더구나 아니다.

 

개인적인 감상보다는 사진을 통해 독자 스스로 느껴보라는 듯하다. 그래서, 편안하다. 너도 한번 걸어봐라 넌지시 강요하지도 않는다. 그 길의 역사적 의미와 지금의 풍광이 주는 현상을 이야기할 뿐이다. 여기 수많은 사진이 있다. 내 마음을 사로잡는 사진도 몇 장 보인다. 산티아고는 내게는 아주 먼 곳이지만, 나는 책을 통해 산티아고를 걷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