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 푸른도서관 36
이금이 지음, 이누리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그림이 나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순간 멈칫 했다. 이 아이의 이야기일까? 어쩌면 나와 같은 고민을 가졌을지도 몰라 라는 생각도 들었다. 인터넷에 연재를 했지만, 읽지는 않았다. 개인적으로 다음 내용을 기다리며 읽는 것에 대해 익숙하지 않을 뿐더러 매일 확인하며 읽을 자신도 없었기 때문이다. 연재는 끝났고, 한권의 책이 되었다.

 

역시, 내 기대를 저버리지 않은 소설이었다. 일단 재미있다. (아, 아이들의 눈으로 보았을 때는 어떤 느낌일지 장담할 수는 없지만, 어른인 내가 봤을 때는 확실히 재미가 있다.) 결말이 어떻게 될지, 누가 한 이야기가 맞는 말일지, 과연 진실은 무엇일지 궁금해서 자꾸 뒷 페이지를 넘기고 싶어졌다.

 

표지 그림 속의 아이는 '봄이'이다. 어릴 때부터 뚱뚱하고 그다지 예쁘지 않은 얼굴이었기 때문에 봄이 자신은 그 사실에 대해 의연한 듯 보인다. 그렇지만 실은 표현하지 않았을 뿐, 봄이도 그러한 자신의 모습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많이 받은 아이였다. 여기서 감정이입. 사람들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표현으로, 혹은 '너를 위해서'라는 말로 뚱뚱하고 예쁘지 않은 얼굴에 대해 한마디씩 한다. 때로는 뚱뚱한 아이들은 성격이 좋아서(!!!)라는 말로 포장을 해가며 가벼운 농담거리(그게 얼마나 날카로운 비수가 되는지)로 삼곤 한다. 허허 웃고 말뿐이지만, 그런 말을 듣고 좋아할 사람은-아무리 성격이 좋아도- 없다.

 

겉으로는 표현하지 않아도 남 앞에 나서기 싫어지고 위축되기 마련이다. 그런 봄이에게 잘생긴 데다가 멀쩡한 대학생 남친이 있단다. 친구들은 그 사실을 믿으려 하지 않으면서도 봄이의 이야기를 듣기를 원한다. 우리가 연예인의 사생활을 가십거리로 이용하듯, 그렇게 아이들은 봄이의 이야기를 듣는다. 그런데 봄이의 이야기는 가출한 봄이의 입장이 아니라, 봄이를 바라보는 친구들의 입장에서 이야기된다. 나보다 잘난 것이 하나도 없는 봄이에게 나에게는 없는 멋진 남자친구가 있다. 그런 봄이를 보면서, 아이들은 자기 자신을 봄이와 반 아이들이라는 대립구도 속으로 밀어넣는다. 그것은, 자신이 반 아이들이라는 단체 속에 소속됨을 말하는 것이고, 혼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각자의 생각은 달라도 결국은 '반 아이들'이라고 묶여서 혼자가 되기 싫은 아이들의 선택이었던 것이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누군가가 나 대신 뭇매를 맞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서슴없이 그 사람의 반대편에 선다. 이 아이들과 뭐가 다를까? 누가 이 아이들을 그르다 말할 수 있을까? 다수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만으로도 안도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내 생각과는 조금 달라도, 좀 안됐다 생각이 들어도, 그 속에 있기를 원한다. 이 아이들만 그럴까? 이 아이들을 그렇게 만든 건 바로 우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