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읽기능력이 평생성적을 좌우한다 - 상위 5%를 결정짓는 학년별.과목별 읽기 전략
김명미 지음 / 글담출판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읽기능력이란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는 읽기능력이란 이런 것이라고 말한다.

   
  독서능력은 책을 많이 읽고 해독하는 정도에서 그치지만 읽기능력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 글이 전달하는 내용을 분석하고 적용하고 비판하면서 글의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다. (p.7)  
   

저자는 독서능력과 읽기능력을 구분해서 말하고 있는데, 나는 평소 저자가 말하는 읽기능력을 독서능력이라고 생각해왔으므로 특별히 구분지을 필요는 없어보인다. 책을 제 아무리 많이 읽는다해도 그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 비판할 수 없다면 읽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는 독서능력이 아닌 읽기능력이라는 용어를 알리는 첫 책이라는 자부심을 내보인다. 어쨌든, 독서능력이든 읽기능력이든간에 그것은 지금의 아이들에게 필요한 능력인 것만은 사실인것 같다.

'상위5%를 결정짓는 읽기 전략'이라는 문구는 학부모의 마음을 잡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이긴 하지만 상위5%를 떠나서 생각하더라도 읽기능력은 중요하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읽기능력과 더불어 현대사회에서는 쓰기능력도 중요하다. 직접 대면의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나의 의견을 문서로 전달하는 경우가 많아졌을 뿐 아니라 웹상에서도 남의 글을 읽거나 써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위5%라는 수치보다도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것이 바로 읽기능력이다.

   
  교과서나 책을 읽고 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배경지식 활용, 어휘, 추론, 예측, 종합, 판단, 적용 등의 능력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을 한마디로 추리면 바로 '읽기능력'인 것이다. (p.37)  
   

내 아이의 읽기습관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아이의 책 읽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초등2학년 즈음에는 습관이 자리잡히기 시작하므로 그 이전에 잘못은 바로 잡을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저자는 읽기능력을 떨어뜨리는 잘못된 읽기습관을 사례를 들어가며 설명하고 있다.

2장부터는 읽기능력을 높여주는 8가지 전략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1)글의 종류에 맞춰 목적을 갖고 읽기 2) 배경지식동원하기 3) 배경지식활용하기 4) 어휘력높이기 5) 소리내어 생각하기 6) 질문하며 읽기 7) 무엇이 중요한지 판단하며 읽기 8) 메모하며 읽기.

어휘력 높이기 단계에서 저자는 아이들이 낱말의 정확한 뜻을 알게 하기 위해 사전을 찾아 확인할 것을 권한다. 아이들은 사전에서 찾은 뜻이 여러 개일 때 문맥과 상관없이 가장 먼저 나온 것이 그 낱말의 뜻인 줄 아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장에 대입하여 정확한 의미를 깨닫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는 초등생들의 읽기능력뿐만 아니라 성인의 경우에도 필요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과목마다 교과서 읽는 방법이 따로 있다고 설명한다. 이는,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은 부모들이라면 금방 알 수 있는 이야기지만, 그렇지 못한 부모라면 깨닫는 바가 많을 것이다. 우리가 책을 읽는 경험으로부터 이런 방법론을 터득하지 못했다면,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서라도 알아두는 것이 좋겠다.

또한 학년별로 꼭 갖추어야 할 읽기능력, 이야기글로 읽기능력 높이기, 정보글로 학습능력 높이기 등의 글은 이 책을 읽는 부모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혹시나 내 아이가 겪고 잇을지도 모르는 읽기 장애 6가지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으니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 책은 초등학생을 둔 부모에게도 필요한 책이지만, 유아를 둔 부모가 읽어도 괜찮을 듯하다. 초등학생이 되어 교과서를 접하기 전에 아이의 읽기습관을 올바르게 잡아줄 수 있다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