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사람의 길을 말하다
한정주 지음 / 예담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율곡 이이, 잘 알고 있는 인물이라 생각되다가도 곰곰 생각해보면 그닥 아는 것이 드문 인물이기도 하다. 이이를 말할 때 바늘과 실처럼 붙어다니는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과의 일화나, 중고등학생 시절 윤리시간에 배운 것 정도가 떠오를 뿐 딱히 아는 게 없는 인물이기도 했다.

그래서, 어쩌면 이 책은 나에게 율곡이라는 인물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줄 수 있을것이라는 기대를 안고 읽어보게 되었다. 율곡이 평생의 철학으로 삼았다던 <자경문>의 내용을 7개의 핵심주제로 통합정리하여 글을 전개하고 있는데 그 7개의 핵심주제란 다음과 같다.

입지(立志), 치언(治言), 정심(定心), 근독(謹獨), 공부(工夫), 진성(盡誠), 정의(定義)

이 중에서도 나의 눈과 마음을 붙잡은 항목은 입지와 공부에 해당하는 부분들이다. 시대와 사람을 넘어서 존경받는 인물의 이야기라 어느 하나 흠잡을 데가 없겠으나 나의 상황과 생각과 부합하는 부분은 특히 마음을 끌기 마련이다.

입지, 큰 뜻을 가져라

지금 나에게 필요한 항목이기도 하고, 내가 아는 많은 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기도 하다. 사실, 이 부분은 여느 자기계발서에서도 볼 수 있는 항목이지만 율곡 이이의 삶과 그의 저서를 통해 한 해를 정리하는 12월이라는 시점에서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작은 항목을 보자면, 뜻을 크게 가져라, 평생의 스승을 찾으라, 반드시 실천하라, 낡은 습관을 혁파하라고 말한다. 지난 1년을 반성하면서 다시 한번 새겨두었다.

사실, 입지는 조금 더 젊었을 때, 조금 더 어렸을 때 가졌어야 할 덕목이지만, 지금의 나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는 덕목이다. 특히, 요즘처럼 삶에 많은 회의가 들 때는 더욱 그렇다. 아이를 키우고 집안일을 하면서 나를 잃어버린 것같은 느낌이 많이 드는 나와 같은 이들이 새겨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와 더불어 내 마음에 들어온 부분은 평생토록 공부하라는 공부.

배우고 익히는 일이야말로 나에게는 가장 즐거운 일이다. 어떤 이들에게는 평생 하기 싫은 것일수도 있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평생을 배우면서 살아간다. 그렇다면 이왕 하는 공부 적극적으로 해보는 것도 좋지 않겠는가? 특히 이 책에서는 '독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몸으로 배우는 것과 마음으로 배우는 것 둘다 어느 하나 가볍게 여길 것이 없다보았다. 독서에 관한 많은 책을 읽어보았지만, 율곡이 이렇게 독서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고는 생각한 적이 없었다.

중용(中庸)에 나오는 독서방법 5가지는 박학, 심문, 신사, 명변, 독행이다. 박학은 두루 널리 배운다, 심문은 자세히 묻는다, 신사는 신중하게 생각한다, 명변은 명확하게 분별한다, 독행은 진실한 마음으로 성실하게 실천한다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지금 나에게 필요한 것들이다. 책을 많이 읽는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은 자세로 읽어야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사실, 그동안의 나는 권수만 무리하게 늘렸지 제대로 가슴에 묻은 책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율곡은 한권의 책을 읽고 또 읽으라하고, 바삐 책장을 넘기지 말라고 했다. 예전에는 아무래도 책이란 게 귀하다보니 읽고 버려도 되는 것들은 책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니 한권을 읽어도 읽고 또 읽을 가치가 있었을테고, 한장 한장 생각하면서 읽어야했을 것이다. 요즘 같은 때는 책의 홍수라 할만하니 책같지 않은 것들도 많아졌다. 그러나 우리 주위에는 여전히 꼭 읽어야 할, 꼭 읽었으면 좋을 책들이 있다. 그런 책을 잘 골라 읽는 것, 그것도 필요하다.

율곡의 독서목록을 보면, 기본적으로 읽어야 할 책과 심화해서 읽어야 할 책으로 구분이 된다. 지금의 나는 전공서 외에는 그렇게 전문적인 수준까지 책을 읽지 않았다. 굳이 전문적인 수준이 아니더라도 개론서 같은 느낌의 책만 읽어온게 사실이다. 그러다보니 아는 것의 깊이가 얕고, 제때 활용도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율곡의 독서목록을 보니 그런 생각이 더욱 많이 든다.

이 책에서 제시한 7가지 주제 중에서 나는 두개의 주제를 마음에 담았다. 이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은 보람이 있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