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큰 놀이터다 - 화랑세기에서 배우다, 소통편
김정산 지음 / 예담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화랑을 만든 인물, 위화.

익히 들어왔고,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화랑이었는데 내가 알고 있는 것은 교과서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물론 이 책은 위화가 어떻게 화랑을 만들었는지, 화랑은 어떤 생활을 했는지와 같은 화랑 안내서도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익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화랑을 만든 인물, 위화가 살아온 행적을 좋아 가면서 풍류란 무엇인지, 풍류를 실천하며 사는 삶이란 어떤 것인지를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이 책의 주인공은 위화이지만, 이야기를 끌어가고 정리하는 인물은 '법화'이다. 법화와 그 제자들간의 대화를 통해 지금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깨달음을 주는 책이다.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화랑세기의 내용을 통해 소통에 대해 말한다. 소통이란 무엇인가. 뜻이 통하여 서로 오해가 없음이 아니던가. 지금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바로 '소통'이 아닐까. 현대사회, 그 중에서도 지금의 한국사회만큼 소통부재인 시대가 또 있었을까. 어떻게 보면 현대에 들어와서 지금만큼 자기 목소리를 많이 냈던 시대도 없었기에,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대라는 것을 절실하게 느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저자는 풍류를 이렇게 말한다. "풍류란 먹고 마시고 춤추며 노래하는 것만이 아니다. 삶을 즐기고 살아 있음을 향유하려는 자세와 태도, 그에 따른 처세와 소통의 기술을 총칭하는 용어다. 요즘 용어에 '웰빙(참살이)'과 비슷하다고 할까. 인간의 격과 인생의 질을 높이는 모든 일을 일컬어 풍류라고 할 수 있다."(p.7)

그런 풍류를 제대로 실천하며 살았던 위화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세상을 제대로 놀다 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 책의 목차는 소제목이면서 풍류를 제대로 즐기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계발서의 목록에나 오를 법한 이야기들을 위화의 삶 속에서 제대로 찾아내었고, 그것을 재미난 이야기로 꾸몄기에 읽는 재미도 있다.

처음 책을 펼쳤을 때는, 웬 늙은 왕이 어린 처자를 탐하나 싶어서 좀 고리타분한 옛 이야기쯤으로 생각했었다. 색공이라는 말은 '미실'과 관련있는 이야기를 읽을 때 접한 적이 있어서 낯설지 않았다. 

책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닿았던 것은 '받을 줄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호의를 베푸는 일에도 용기가 필요하지만 그 호의를 받아들여 신세를 지는 데도 그에 못지 않게 용기가 필요하다. 사람은 줄 줄도 알아야 하지만 받을 줄도 알아야 한다. 남에게 받을 줄 모르는 사람은 줄 줄도 모르는 법이다. 주는 사람도 아무한테나 주어서는 안 되겠지만 받는 사람 역시 아무한테나 받아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모두 상대를 가리고 선택할 권리가 있다는 뜻이다. -중략- 마음과 마음이 소통하는 이런 큰 거래는 하나를 주면 반드시 그 이상을 남겨야 하는 세간의 장삿속은 철저히 배제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p.108)

설마 이것을, 뇌물이나 청탁과 연관짓는 못난 사람은 없기를 바란다. 마지막 문장이 바로 그런 것을 결계하고 있음이다.

책 속 이야기가 하나하나 보고 배울 점들이다. 이야기마다 교훈을 남기고 있지만, 교훈을 주기 위해 쓴 글로 보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그렇다고 무릎을 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은 작가의 역량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가 몰랐던 신라의 사회 문화와 더불어 세상을 사는 방법을 함께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