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 공주는 공주가 아니다?!] 서평단 알림
백설 공주는 공주가 아니다?! - 발도르프 선생님이 들려주는 진짜 독일 동화 이야기
이양호 지음, 박현태 그림 / 글숲산책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책을 읽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는,

우리집 아이 한솔이가, 디즈니에서 나온 [백설공주]를 너무나 좋아해서 하루도 빼놓지 않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디즈니식 애니메이션에 대한 비판을 워낙 많이 들었기 때문에 뭔가 대체할 만한 것이 없을까를 고민했던 적도 있었지만 적당한 대체품을 발견하지 못한 탓도 있다. 한솔이는 dvd의 내용을 아예 외워버렸을 정도로 많이 보았다. 지금 아이가 말을 배우는 단계여서 흡수력이 빨라진 것도 한몫하고 있다.

장면장면을 다 기억하고 있고, 무슨 대사를 할지도 알고 있다. 자기가 좋아하는 장면이 나오면 나를 일으켜 세우고는 같이 해보자고까지 한다. 그런데, 아이가 dvd를 보는 동안 엄마인 나도 그걸 함께 보다보니, 이제는 백설공주라 하면 내가 예전에 읽었던 그 이야기는 어디론가 가버리고 dvd의 내용만 떠오르는 것이다. 그래서 두번째 이유라면, 나를 위해서이기도 하다.

일단, 이 책은 저자가 새롭게 번역한 새하얀 눈아이의 이야기와, 영어와 독일어로 된 글이 함께 실려있다. 뒷부분에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해설'이 곁들여있는데, 일단은 이야기만 읽어보기로 했다. 이야기를 읽었을 때, '새하얀 눈아이'라는 명칭을 제외하고는 어렸을 때 읽은 이야기와 별반 다르게 느껴지지 않았다. 아마도 전체의 줄거리에는 특별한 가감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일부 명칭의 변화와, 다듬어지지 않은(매끄럽지 않다고 느껴지는) 문장 몇이 눈에 띌 뿐이었다.

저자는, 명칭에 크게 신경쓴 듯하다. 백설공주를 '새하얀 눈아이'로, 여왕을 '못된 먹은 여자'로 옮긴다. 그것이 이야기를 읽는데 있어서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는(그 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백설공주와 차별을 하는) 큰 역할을 한다고 보는 듯하다.

그런데, 솔직히 말하자면,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었다. 나는, 단어 하나, 문장의 어투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전체적인 줄거리만 눈에 들어왔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단지,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백설공주의 탄생과 관련해서 다시 생각이 났을 뿐이었다.

그러면, 이 책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일까?

바로 그것은 뒷부분에 있는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해설'을 읽음으로써 알게 된다.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백설공주 이야기를 원래의 옛 이야기로부터 생각꺼리를 끄집어내는 것이다. 어린이를 위한 동화로 번역하고 디즈니식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면서, 어린이(그것도 어린 유아용)으로 변해버린 이야기를, 원래의 'snow white'로 환원시켜 청소년은 물론이고 어른 세대들까지도 독자층으로 흡수한다.

책을 다 읽고 난 뒤 이 책은 청소년용 도서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어린 유아나 아동들에게 새하얀 눈아이의 이야기로 읽혀도 상관은 없지만, 전체적인 큰 틀(줄거리)이 특별히 달라질 것은 없으므로 문제될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이 이야기를 읽고 저자가 이야기 구절 하나하나를 해체하고 그 속에 숨은 뜻을 찾아내는 작업(?)을 따라해 볼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너무 잘 아는 이야기라고 생각했지만, 왜 그랬을까?를 생각하는 동안 다양한 문화코드를 찾아낼 수 있다는 즐거움이 보인다.

그리고 맨 뒤에 싣고 있는 [순금 아이]를 통해 다시 읽기를 연습해볼 수 있어서 좋다.

저자의 의견과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는 아니지만(사실, 저자처럼 읽으니 글이 재미가 없다. 이야기가 주는 교훈, 문화코드를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야기 자체를 즐기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므로) 저자처럼 글 속에 숨은 뜻을 찾아가는 일도 해볼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알라딘 리뷰어선정으로 읽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