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수도, 베이징
조관희 글.사진 / 창비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의 나의 관심은 [중국]이다. 곧이어 있을 올림픽때문이기도 하지만, 내가 만나는 사람들 중 반 이상이 중국인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중국에서 온 학생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에게 한국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 내 의무이기도 한만큼 그들에 대해, 그들의 나라에 대해, 그들의 수도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지 않을까?

창비 홈페이지에서 책소개를 보고 구입한 책이다. 내가 필요했던 책은, 중국을 관광하기 위한 것도 아니고, 중국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것도 아니었다. 내가 만나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책이 필요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상당히 만족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 세개인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평가로, 책읽기가 조금 힘들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너무 가벼운 책들을 최근에 많이 읽은 탓도 있을 것이고, 베이징이라는 도시를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이르기까지 소개하는 동안 약간은 지루함이 동반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의 지명이나 인명이 예전과는 달리 중국발음으로 소개되고 있기 때문에 내가 아는 곳과 다른 곳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앞으로 점점 더 익숙해지겠지.

중국의 역사와 더불어 현재의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다는 점이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할만하다. 관심 있게 읽은 부분은 베이징 사람들의 삶의 공간이라고도 할 수 있는 '후퉁'과 '징항운하', 그리고 베이징 주변의 '장성'들에 대한 글이었다. 베이징의 생활공간이라고 말하는 뒷골목 후퉁에 대해서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가장 좁은 후퉁이라는 '샤오랴바후퉁'의 사진을 보자마자 어렸을 때 보았던 우리동네 골목길을 떠올렸다. 후퉁은 재개발 등으로 많은 곳이 철거되고 있다고 한다. 개혁개방 이후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중국 사회를 생각하면 당연한 일로 여겨진다. 역사적 가치를 우선할 것인가, 지금 당장의 생활불편을 해소하는 것을 우선으로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어디서나 충돌을 일으키는 것같다.

징항운하는, 철도나 비행기 같은 교통수단이 없었을 때 남북을 잇는 대동맥 역할을 해 온 운하이다. 과거 중국의 물자수송을 위해 큰 일을 했던 징항운하도 현대에 와서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된 듯하다. 문득 현 정부의 '대운하'가 생각나는 것은 왜일까?

중국하면 떠오르는 '장성'도 요즘은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한다. 가끔은 지키고 보호해야 할 문화유산이란 게 어떤 기준으로 정해지는지가 모호할 때가 많다. 그렇지만 생활에 큰 불편이 없는 한은 문화재로 보호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중국의 수도 베이징이라는 도시를 통해 중국이라는 나라를 둘러볼 수 있었던 책. 그리고 현재의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