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밥상 - 농장에서 식탁까지, 그 길고 잔인한 여정에 대한 논쟁적 탐험
피터 싱어.짐 메이슨 지음, 함규진 옮김 / 산책자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다 읽은 후 내가 고민하게 된 것은 바로 이것이다. 도대체 무엇을 먹어야 하는가? 하는 것. 특히 요즘 광우병이니 GMO식품이니 말도 많은데, 거기다 더해서 윤리적 문제까지 생각해야한다니 도대체 무엇을 먹어야한다는 말일까? 인간의 이기심은, 더 많은 먹거리를 생산해낸다는 겉포장을 씌운 채 우리의 건강과 환경을 담보로 하거나 빈곤한 나라의 국민들을 착취하거나 비윤리적인 동물사육을 용인해왔다. 이 책은 우리가 간과해온 사실들을 하나하나 밝히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안(혹은 실천)방안을 어느 정도 제시한다.

사실 눈앞에 닥친 문제들만으로도 머리가 아프다. 광우병 위험물질인 줄 알면서도 수입을 해야 한단다. 미국대사는 한국국민이 과학에 대해 좀 더 공부해야한다고 국민전체를 모독하는 발언을 했다. 그렇다면, 이 책 저자의 말처럼 개선되지 않는다면, 육식을 하지 않는 것밖에 방법이 없듯 광우병 위험물질인 줄 알면서도 수입이 되었다면 그걸 먹지 않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국민들이 모두 채식주의자가 되어야 할 판이다.

그런데 여기에도 몇 가지 문제들이 있다. 동물들의 사육과 가공 처리 방법에 대한 문제로 인해 육식을 하지 않는다하여도 채식 역시 생산방법과 판매에 있어서 환경문제와 빈곤국가의 경제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먹거리 하나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고민해야 할 것이 너무 많아진다.

사실, 먹거리를 선택해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나는 특권이라고 생각한다)는 모두에게 있는 것은 아니다. 부유층은 문제가 된 음식을 먹지 않아도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대체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고, 더 맛있고 좋은 음식을 먹을 수 있다. 그러나, 부유층이 아닌 사람들, 혹은 가정의 엥겔계수를 더 이상 높일 수도 없고, 먹거리에 신경 쓸 시간조차 없는 사람들은 알면서도 먹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시간과 돈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 그들에게조차 윤리적 문제를 잣대로 내세울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먹거리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 그리고 시장의 변화가 오랜 세월을 두고 변화해왔듯이 다시 되돌아가는 것 역시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더 많이, 더 빨리...생산함으로써 우리가 얻은 이익은 과연 이익일까?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만드는 책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책 내용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 물론 책의 앞부분에서는 동물들의 사육모습에 대한 충격으로 책에서 눈을 뗄 수 없게 하지만 전반적으로 미국 중심의 서술(모르는 회사 이름과 상황들)때문이어서 그럴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