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피셔 백과사전 자연과학4편은, 극지와 건조지역의 생물들에 대해 알 수 있다.

 

세계의 생물군계를 나타낸 6-7페이지의 지도에 나와있다. 그러나 그동안 인간이 숲을 잘라내고 초원을 개간하고 습지에 관개시설을 만드는 등의 과정을 거쳐 많은 변화를 겪었고 지도상의 생물군계와는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북극과 툰드라 지대. 북극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동물이 바로 북극곰이다. 아니나다를까 북금곰 사진이 제일 먼저 나온다. 북극해와 툰드라 지대에는 북극곰 외에도 많은 동물들이 살고 있는데 바다코끼리나 북극 여우, 일각고래, 바다표범 등이 있다. 우리는 보통 이런 극지방에는 꽃이나 생물이 살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하는데 툰드라 지대에는 꽃도 핀다.

 

거대한 빙하 사진을 넘기면 남극을 만날 수 있다. 북극과 남극은 같은 극지방이지만 그 느낌이 사뭇 다르다. 북극과 달리 남극은 거의 대부분이 얼음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살지 않는다고도 할 수 있다. 물론 해안지대에는 생물이 살고 있다. 특히 남극의 펭귄들의 모습은 인상적이다.

 

지구상에서 인간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을 것 같은 지대라고 하면 보통 극지방이나 사막을 떠올리지 않을까? 그렇지만, 이런 곳에도 생명은 자라고 있다. 그것이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생명의 신비일 것이다. 사실 백과사전류를 볼 때면 우리집 아이는 관심이 없다. 그런데, 자연과학4를 볼 때는 달랐다. 그만큼 눈길을 끄는 사진이 많았기 때문이다. 특히, 낙타 사진. 털갈이 중인 낙타라서 그런지 보기에는 흉하지만 정말 사실적이다. 사막을 넘어서면, 데초원과 사바나가 펼쳐진다. 갑자기 녹색 들판이 나타나 놀랐다(^^) 기린이나 표범, 얼룩말, 코끼리 등 익숙한 동물들이 나타난다. 그러고보면 동물원에서 구경했던 동물들이 대개 아프리카 초원에서 살던 동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동물원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야겠다. 44페이지로 가면 거대한 개미집을 볼 수 있다. 이런 것이 백과사전을 보는 재미일 것이다. 단편적인 지식을 하이퍼링크로 찾아갈 때는 이런 거대한 개미집을 발견하기란 드물 테니까.

 

관목지대까지 둘러보고 나면 이 책을 덮어야한다. 백과사전이지만, 한권의 책으로 훑어보기에 좋은 책이었다. 특히 자연과학4번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