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 이슬람은 전쟁과 불관용의 종교인가 고정관념 Q 9
폴 발타 지음, 정혜용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이슬람 : 아랍어로는 ‘신에게의 복종’을 의미하며, 유대교와 기독교의 뒤를 이어 세 번째 계시종교이다. -중략- 이슬람 신도들은 ‘불신의 영토’를 포교와 개종을 통해, 심지어는 무력으로라도 차츰차츰 ‘이슬람의 영토’로 만들어야 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서구에서 이슬람이라는 용어는 종교뿐만 아니라 이 종교가 퍼져나갔던 지역과 이 종교가 퍼뜨린 문명까지도 가리키게 되었다.”(p.6-7)

내가 알고 있는 이슬람은, 종교 ․ 사회 ․ 문화라는 틀과는 상관없이 ‘테러’와 ‘베일’(히잡, 차도르, 부르카 등), 외국인납치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로만 기억되는 단어이다. 앞표지에 있는 “이슬람은 전쟁과 불관용의 종교인가”라는 문장은 이 시리즈의 특성상 그것이 고정관념이라는 뜻일 것이다. 우리가 이슬람이 전쟁과 불관용의 종교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 데에는 9.11테러, 탈레반의 피랍사건 등이 큰 영향을 끼쳤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을 통해 드러난 일면은 이슬람을 이해하는 일부분일 뿐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알지 못하는 이슬람에 대해 알게 되기를 기대했다.

이 책이 제시한 고정관념을 먼저 살펴보면, 이슬람교를 모르기 때문에 생긴 고정관념과, 이슬람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통해 생긴 고정관념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그 중 몇 가지를 살펴보자.

이슬람교의 원동력은 정복전쟁이었다는 고정관념. 첫 번째 영토 확장기에는 정복전쟁에 의존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무력이 이슬람으로의 개종을 이끈 유일한 수단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신학적 분열이 일어난 시기에 유대교 및 기독교의 완성된 형태임을 자처하였다든지, 세금을 거두기 위해 집단개종을 추진하지 않은 점, 상인과 선교사들에 의해 평화적으로 이루어낸 정복이었다는 점을 이야기한다. (p.30-33) 9.11사태 이후 연이은 테러로 인해 정복전쟁 및 테러리즘을 통해 자신들의 종교를 강요하려 든다는 고정관념이 힘을 얻고는 있지만, 그것은 고정관념일 뿐이다.

이슬람교는 과연 불관용적인 종교인가? 이 역시 고정관념이라고 말한다. 좀 더 나아지기 위한 자신과의 투쟁을 의미하는 지하드가 서양언론에 의해 매번 성전(聖戰)으로 번역되는 것, 빈라덴이 지하드를 부추기는 발언을 하는 것 등이 그런 고정관념을 양산시킨다.

이슬람교에 대한 고정관념은 미국과의 관계를 떠나서 이야기될 수 없을 것 같다. 미국은 소비에트 공화국, 이라크와 시리아처럼 민족주의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색채를 띠는 정권을 견제하기 위해 호메이니가 이란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왔지만, 오히려 미국의 전략에 놀아나기를 거부하고 미국에 맞서는 바람에 이슬람은 늘 서방세계와 전쟁 중(p.61)이라는 고정관념이 생겼다고 이야기한다. 탈레반과 오사마 빈 라덴을 지원했던 것도 미국이었다는 사실도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종교적, 정치적인 고정관념 외에도 우리가 가장 많은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것이 바로 문화, 사회적인 고정관념이 아닌가싶다. 특히 여성차별적인 종교로 인식되고 있는데 여성은 집안에만 머물러야 하고 베일을 착용해야 한다는 것과 관계가 있다. 꾸란의 텍스트 해석이 매우 자의적이고, 종교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 현상의 하나로 보아야하는 것이므로 이슬람교의 특징이라 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이슬람교의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베일의 경우 고정관념이 아주 강한데, “그것이 유난히 눈에 잘 띄고 상징적인 가치를 갖기 때문”(p.95)이라는 저자의 말은 생각해볼 만하다. 베일은 꾸란에서는 처벌이 따르는 강제조항이 아니라 권고사항이다.

한국에서 이슬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9.11테러와 탈레반에 의한 한국인 피랍사건 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사건의 영향이 크다. 그런 부정적인 관점에서 이슬람을 바라보는 시각이 객관성을 유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우리가 이슬람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이유가 부정적 사건에 의한 것이었다 하더라도 편견을 가지고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슬람에 대한 우리의 일반적인 생각과 질문을 풀어나가는 방식의 이 책은 이슬람을 아는 데 도움이 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