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블로그 푸른도서관 22
강미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이라는 굴레를 벗어난 지 제법 오래되었나보다. 이 책을 청소년도서라고 생각하고 읽었다가 좀 충격을 느꼈다. 솔직히 말해 얼마 전에 읽었던 [소녀, 소녀를 사랑하다]하고 비교가 되었다고 해야하나. 논란을 불러일으킬 정도였다던 [소녀, 소녀를 사랑하다]를 무덤덤하게 읽어내렸던 나였는데, 이 책 [겨울, 블로그]는 그렇지 않았다. [소녀, 소녀를 사랑하다]는 "사랑"이라는 추상적인 것을 들고 나왔다면 [겨울, 블로그]는 그런 개념이나 추상적인 언어가 아니었기 때문일듯하다. 정말 요즘 아이들의 세계는 이런 걸까? 내가 그들에게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있는걸까?

동성애에 대해서는 특별히 반대할 생각도 없고, 그것도 사랑의 한 형태라는 점에서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동성애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게 아니다. 동성애는 하나의 장치로서 사용되었을 뿐이라고 생각된다. [겨울, 블로그]의 혜욱과 민지의 관계는 내게 있어서 이해불가능한 관계였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면, 혜욱과, 민지, 도서관 후배의 관계는 중고등학생때 한두번은 보았음직한 풍경이다. 물론, 그들이 도서관에서 한 행동은 좀 뜨악했지만. 이 글을 쓴 작가는 자신의 학창시절과 요즘 아이들의 모습을 교묘하게 겹쳐놓은듯 보인다.

[사막의 눈기둥]이나 [독이 빠지는 시간]은 전형적인 청소년 소설답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겨울, 블로그]에서 느낀 충격이 완화되는 소설이랄까?

어쨌든 그 충격은 [지귀의 불]에서 다시 세게 다가온다. 수희의 행동은, 왠만한 드라마 속 주인공 뺨칠 정도이다. 약간은 삐뚤어진 애정공세라고나할까. 중고등학교때, 선생님을 좋아하고 그 선생님과의 로맨스를 꿈꾸는 일은 흔한 일이었다. 그때, 우리는 순수하게 좋아했다고만 말할 수 있을까? 그저 교무실에 꽃을 꽂아놓거나 수업시간에 열심히 듣거나 하는데사 그치지 않고, 선생님의 행동반경이라면 어디든 쫓아다녔던 아이들이 우리때도 있었다. 심지어 선생님이 사는 곳까지 가서 빨래며 음식까지 해놓고 오는 아이들, 그리고 그 선생님과의 결혼까지 꿈꾸기도 했고, 또 어떤 이는 실제로 선생님과 결혼을 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그래서, 수희의 행동이 이해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수희의 행동이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데에 있다. 사실, 알고보면 수희가 의도한 것은 아니었던 듯하다. 마지막에 민재와 나누는 대화들을 보면 수희가 일부러 의도했던 것은 아니지만, 상황이 그렇게 돌아가자 수희가 변명하거나 사실을 밝히지 않았을 뿐이었다.

어떤 이는, [겨울, 블로그]를 읽고 설마 요즘 애들 정말 이런거야?라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때도 그랬다. 이렇게 글로, 책으로 나오지 않았을 뿐.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 충격적인 모습으로 각인되는 것은, 우리 아이들이 이러지 않았으면, 좀더 순수하고 순진하기를 바라는 어른의 욕심때문이 아닐까. 그렇다. 이건 내 자신이 좀더 솔직하게 아이들을 바라 볼 필요가 있음을 말하는 것이리라. 그런데, 이 책을 읽는 청소년들은 과연 어떻게 생각할까? 나는 그것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