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의 색연필> 서평단 알림
천국의 색연필 - 전 일본을 울린 열한 살 소녀 이야기
마이클 그레니엣 외 그림, 코야마 미네코 글 / 파랑새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알라딘서평단도서입니다>

내가 감성적이지 못하고, 남들 다 감동받는 장면에서도 쉽사리 감동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이 책을 읽고 감동하고 울음을 터뜨렸다는 사람들과는 달리 나에게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었다.

예를 들어, 인간극장이라는 프로그램을 생각해보자. 그 프로그램을 통해 카스미의 투병기를 보았다고 친다면, 카스미가 1년도 채 안되는 투병생활을 끝내고 멀리 떠난 후 [천국의 색연필]이라는 책이 출판되었고, 그것을 읽은 나는 카스미의 시를 읽으며 눈물지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저자나 출판사측에서 이야기한 카스미에 대한 대강의 사정을 훑은 다음 이 책을 읽은 나에게는 큰 감동이라고 할 것이 별로 없었다.

그러니까, 밝은 노랑을 좋아한다는 카스미의 이야기는 <천국의 색연필>이라는 책내용에는 없다. 대신 카스미에 대한 설명이 있는 책날개에 소개되어있다. 대부분의 정보가 책날개에 있으니 정작 책을 읽으면서는 감동을 느끼기에 뭔가 부족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고할까?

물론, 카스미가 삐뚤빼뚤 왼손으로 쓴 시와 그림이 뒤로 갈수록 점점 힘들어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 시의 내용 역시 진하게 와닿지 않는다. 그나마 <아기>라는 시가 제일 와닿는데, 그것은 카스미가 자신은 아프거나 또는 죽을지도 모르는 슬픔을 부모에게 주지만, 아기는 주위사람들의 사랑을 먹고 건강하고 밝게 자라 부모님에게 희망이 되어줄것을 부탁하는듯한 느낌마저 드는 시였다.

병과 힘들게 싸웠던 카스미에게는, 하늘나라에서도 12색 색연필로 카스미 자신의 이야기를 더 들려달라고 말하고싶다. 카스미가 열한살이라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아픔보다는 자신을 돌보아야하기때문에 다른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마유를 향한 미안함을 느낄만큼 성숙한 아이였기에 그녀의 그림과 글은 또다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책 자체의 내용보다도 책 외부의 내용으로 인해 감동을 느껴야한다면 책이 감동을 주고자하는데는 실패했음이다.

카스미의 글과 그림이 더많았다면 좋았을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