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들에게 희망을 - 엄마와 딸이 행복한 세상
오한숙희 지음 / 가야북스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나는,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한가지 기대를 했다. 나도 딸이고, 이제 한 딸아이의 엄마이기때문에 이 책을 읽는 마음의 자세가 달랐다고할까? 그런데, 내 기대나 생각과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듯한 인상에 조금 당황했다. 뭐, 결국은 딸이든 아들이든 간에 자식 키우는 엄마의 마음이니 그게 그거려니하고 생각하기도 했지만..

나는 어렸을 때, 엄마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다. 굳이 내가 딸이어서가 아니라 그냥 자식이었기 때문에 받은 지원이었다. 물론 아들을 원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집안의 압력이 알게모르게 작용하여 주위 친척들로부틑 곱지않은 시선을 받았을 것임에 틀림없지만 그래도 내 어머니께서는 나에게 그런 내색을 안하셨던 것같다. 또한 그 연장선에서 나를 지원해주었다고 해야할까?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았다. 딸아이다. 우리 부부는 더이상 아이를 낳을 계획이 없다. 이 무슨 사회적 분위기에 반하는 발언이냐하겠지만, 우리에게는 한명이면 딱 적당하게 잘 키울 것같다. 잘 키운다는 것의 의미는 심리적 물질적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남보다 더 잘 키울수는 없을지 몰라도 내 나름의 지원은 가능한 선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주위에서는 다들 한마디씩 한다. 하나 더 낳아야지. 하나는 외롭다. 동생은 아들이면 좋겠네. 뭐 좋은 말씀들이지만 결국 결론은 그거다 동생은 아들이면 좋겠네라는 것.

그렇지만, 사람마다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는 법이다. 예전같으면 자기 먹을 복은 다 타고 난다고 하지만 요즘이 어디 그런 세상인가? 요즘은 제 밥벌이를 못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내가 만약 아이를 딸이 아니라 아들을 낳았다면 역시 같은 말들이 오갔을까?

딸아이를 키우면서 제일 먼저 걱정되는 게 가정에서의 대접이다. 그 다음은 사회적인 대접이라고 할 수 있다. IMF로 대량실직상태를 겪으면서 가장 많은 실직자는 여성이었음에도 사회적 조명은 실직남성들로 쏠렸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서는 여성의 사회활동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같은 역량을 가진 남녀가 있을 때는 남자가 우선되는 것도 사실이다. (아니라고 말할 사람도 있겠지만, 이게 현실이다) 그런 사회에서 딸로 태어나 한 여성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지금의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내가 이 책에서 기대한 이야기는 바로 1장에 모두 들어있다. "여자들의 제몫을 챙기기는 어려서부터 습관이 되고 훈련되어서 여성 스스로 당연시하도록 되어야한다"(p.32)는 말은 상당히 중요하다. 그 습관이 몸에 배지 않은 여성은 사회로부터 아니 가정으로부터도 제 몫을 뺏기기 일쑤다. 그런 걸 보고 자라는 다른 남자아이들도 그걸 당연시여기게된다. 딸들이 사회에서 한 여성으로서 자신의 몫을 다해낼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제몫챙기기다. 이걸 욕심이라고 부르지는 말자.

그런데, 2장부터는 엉뚱하게도 오한숙희의 가정사가 나온다. 그녀의 이혼과 더불어 장애가 있는 아이를 키우는 엄마, 그리고 이모로서의 마음이 나온다. 그래서일까? 나는 이 책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를 다시 챙겨보아야했다. 딸의 미래를 준비하는 엄마에게 전하는 메시지라기보다는 자식키우는 엄마로서의 자세를 다룬 책이라 하겠다. 엄마의 상황이 이혼을 하게되거나 장애를 가진 아이를 키우게 되었을때도 엄마로서의 역할을 제대로하라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상당히 아쉬움이 남는 책이다. 그러나 한 여성의 삶을 통해 자식을 키우면서 자신의 일을 해나가는 여성의 이야기를 원했다면 충분히 괜찮은 책이었을것이다. 대신, 제목이 좀 따로 노는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