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삼켜버리는 마법상자 모두가 친구 7
코키루니카 글.그림, 김은진 옮김 / 고래이야기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마법상자가 하나 있다. 여기에는 당신이 싫어하는 것은 무엇이든 삼켜버린다는 말이 쓰여있다. 싫어하는것은 모두 다? 우와 멋진 상자인걸. 그런데 그림톤이 그리 행복한 색깔이 아니다. 검은색 펜으로 그려진듯한 그림은 뭔가 불길하거나, 약간 어두울 거란 예상을 하게 한다. 즐거운 일이 일어나지 않을거란 건 틀립없어.

 

살면서, 내가 싫어하는 게 얼마나 많았나 한번 떠올려봤다. 어렸을 때를 생각하니 이것저것 많이도 떠오르는데, 나도 이 아이처럼 생선을 싫어했고, 시금치도 싫어했다. 뿐만 아니라 내 주변의 사람들도 온통 잔소리만 해대던 사람들 뿐이었던것 같았다. 지금은 그렇게 싫어했던 내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는데, 아마 싫고 좋음을 구분하기 시작하면서 습관적으로 싫다는 말을 한 건 아닌지, 그렇게 싫다고 한 후에는 그 말을 주워삼키지 못해서 어른이 된 지금까지도 싫어하는채로 지내고 있는 건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아이를 키우면서 여러가지를 느끼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아이가 싫어하는 걸 알면서도 그걸 권하는 내 모습이다. 결국은 어렸을 땐 몰랐지만 그것들이 존재하는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지금은 아직 좋다 싫다 말은 하지 않는 아이지만 조만간 말문이 트이면 제일 먼저 싫어 싫어를 연발하게 될지도 모를 아이를 위해 엄마인 내가 해야 할 일을 생각해본다.

 

아이들은 이상하게도 긍정적인 단어보다 부정적인 단어를 더 빨리 배우는 것 같다. 그것은 어른들이 하는 말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것도 안돼, 저것도 안돼. 이건 없어, 저것도 없어. 이거 하지마, 저거 하지마. 그러니 아이들은 부정적인 단어를 먼저 배우게 되고, 자신의 생각과는 다르니 싫어 싫어를 연발하게 되는 건 아닐까? 어쩔 수 없이 부정적인 단어를 많이 쓰게 되긴 하지만, 이제부턴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아이가 싫어 싫어를 연발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되겠다. 자, 그 다음엔?

 

여기 무엇이든 삼켜버리는 상자가 있단다. 뭐든지 네가 싫어하는 건 다 삼켜버린다니 최고가 아니냐~!@! 아이와 함께 이 책을 읽어보자. 주인공 아이는 자기가 싫어하는 것들을 모두 상자가 삼켜버리는 걸 보면서 좋아했을까? 강아지, 동생, 선생님, 그리고 엄마까지 삼켜버린 세상에 아이 혼자 남아 자기가 좋아하는 것만 보면서 지내면 행복할까? 함께 이야기를 읽으면서 생각을 하게 하면 좋을 것 같다. 시끄러운 강아지가 사라진 세상, 매일 엄마에게 혼나게 하는 귀찮은 동생이 없는 세상, 잔소리하는 선생님이 사라진 학교 등등등...그 세상을 상상해보자. 아이가 혼자 덩그러니 앉아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 하면서 앉아있는데도 웬지 허전함을 채울 수 없는 그림을 보면서 아이의 느낌을 함께 이야기해본다면, 이 세상은 내가 좋아하는 일만 하면서 살 수 없는 곳이고, 내가 함께 있고 싶은 사람과만 살 수 있는 세상이 아니란 걸 알게 될 것이다.

 

그림책은 단지 그 상황을 한장의 그림으로 보여줄 뿐이다. 이 모든 사실을 알아차리기 위해선 아이의 상상력이 발휘되어야한다. 무엇이든 삼켜버리는 마법상자에 넣고 싶은 것을 생각하고, 그것이 없어진 이후의 세상을 생각하고, 그 모든 것들이 다 사라진 이후를 상상하는 것, 그렇게 함으로써 아이는 혼자 사는 세상이 얼마나 외롭고 재미없는 세상인지를 알게 될 것이다.

 

그림책은, 그림을 통해 상상하는 책이다. 어떤 그림책은 아이의 상상을 제한하기도 하지만, 이 책은, 오히려 아이의 상상을 유도하는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