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요하고 단단하게, 채근담 - 무너지지 않는 마음 공부
홍자성 지음, 최영환 엮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8월
평점 :
채근담은 꽤 많이 들었고, 읽었고, 또 들었고, 또 읽었다.
그래도 읽을 때마다, 들을 때마다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온다.
어느 시기에 읽어도 좋다. 그때그때 다 다르게 다가온다.
그래서인지, 채근담도 여러 출판사에서 나왔다.
어느 출판사의 책을 읽어도 상관없다.
원문을 읽으면, 언제든 나의 상황에 대입이 가능하다.
여러 출판사에서 책을 내면서,
해석을 어떻게 달아놓았느냐,
엮은 이의 철학과 어떻게 어우러지느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다.
이번에 읽은 이 책은
무너지지 않는 마음 공부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저자는
채근담은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더 나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현대인의 삶의 방향을 찾고,
소박하고 검소한 삶의 가치를 강조하며,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삶의 지혜와 가르침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채근담의 문장 중에서 자신에게 와닿는 문장을 발견한다면
그 한 문장만으로도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내 나이 오십에 다시 채근담을 읽으며,
내 삶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이 책의 구성은 7개 파트, 356개의 글로 이루어져 있다.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
운명과 시련을 대하는 자세,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마음을 비우는 공부,
세상을 비추는 눈,
자연과 하나된 삶이라는 7개 파트가 있다.
저자의 생각을 담은 글과 함께 채근담을 소개한다.
나는 저자가 단 제목들에서 그 내용을 읽었다.
잠깐의 외로움이 들려준 평온의 비밀 명각본 전집 001
棲守道德者, 寂寞一時
依附權勢者, 淒涼萬古。
故達人觀物外之物, 思身後之身,
寧受一時之寂寞, 毋取萬古之淒涼。
도덕을 지키며 사는 사람은 한때 외로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권력에 기대어 사는 사람은 영원히 쓸쓸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명한 사람은 눈앞의 이익 너머를 바라보고,
죽은 뒤의 삶까지 생각합니다.
차라리 잠깐의 외로움을 감수할지언정,
영원한 쓸쓸함을 선택하지 않습니다.
가르침의 거리, 꾸짖음의 무게 명각본 전집 023
攻人之惡, 毋太嚴, 要思其堪受
教人之善, 毋過高, 當使其可從。
남의 잘못을 꾸짖을 때는 너무 심하게 하지 말고,
그 사람이 감당할 수 있을지를 먼저 헤아려야 합니다.
또한, 남에게 선한 길을 가르칠 때는
너무 높은 이상을 제시하지 말고,
그가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고요는 준비된 마음 위에 온다 명각본 전집 182
忙裏要偷閑, 須先向閒時 討個把柄
鬧中要取靜, 須先從靜裏立個根基
不然, 末有不因境而遷, 隨時而靡者。
바쁜 와중에도 여유를 누리려면,
미리 한가한 시간 속에서 그 실마리를 찾아야 합니다.
시끄러운 가운데에서도 고요함을 지키려면,
미리 고요한 순간 속에서 그 뿌리를 세워두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누구라도 환경에 휘둘리고
순간에 휩쓸릴 수 있습니다.
바쁨은 내 안에서 시작된다 명각본 후집 004
歲月本長。而忙者自促。
天地本寬, 而鄙者自隘。
風花雪月本閒, 而勞攘者自冗。
세월은 본래 넉넉하게 흐르건만
바쁘게 사는 사람은 스스로 그 시간을 좁히고,
하늘과 땅은 본래 넓고도 크건만
속좁은 이는 스스로 그 공간을 막습니다.
바람, 꽃, 눈, 달은 본래 한가한 풍경이건만
분주한 사람은 스스로 복잡하게 만듭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리 바쁠 수 있나 싶을만큼 바쁘게 지냈다.
늘 입에다 바쁘다는 불평을 달고 살았다.
어쩌면 스스로 만든 것인지도 모르는데, 나는 항상 다른 이에게 불편을 해댔다.
모르진 않았다.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 뿐...
오랫만에 채근담을 다시 읽는 시간을 가졌다.
역시 읽을 때마다 내 마음에 와 닿는 내용은 달라진다.
가끔 한번씩 다시 꺼내 읽어봐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