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M & DAD -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학부모 세계의 진실
로잘린드 와이즈먼.엘리자베스 래포포트 지음, 이은정 옮김 / 시공사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직 학부모는 아니지만, 세월 흐르는 걸 보면 금방인지라...나도 곧 학부모가 되겠지. 요즘은, 학교에 가기 전, 유치원, 유아원, 어린이집, 거기에 각종 문화센터에서도 학부모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는 터라 그렇게 먼 일만도 아닌 듯하다. 어쨌든, 좋은 학부모 이전에 좋은 부모 되기부터 시작해야겠지.

이 책은, 좋은 부모를 넘어서서 좋은 학부모가 되는 길, 아니 정확하게 말하자면, 우리가 알지 못했던 혹은 알면서도 모른척했던 학교와 학부모, 학부모와 학부모간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류의 책이 흔히 그러하듯이, 다 읽고나면, 특별할 것 없는 내용이지만, 적어도 우리가 쉬쉬 숨기려고 했던 일들을 까발렸다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우선, 이 책의 장점을 꼽자면, 아이의 교육에 관여하는 사람으로 엄마 만이 아니라 엄마, 아빠로 확대하여 함께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학부모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특징을 조목조목 설명하고 그에 따른 대처법을 설명했다는 점일 것이다. 책의 앞부분의 절반을 차지하여 학부모의 유형을 살펴보면서 나는 어떤 유형이며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학부모의 스타일을 알게 됨으로써 그들과 관계를 맺는데 있어서 유의할 점이랄까? 그런 걸 알수 있다. 가만히 살펴보면 나는 몇가지 유형이 섞인 복합형인데, 이 책에서는 복합형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학부모가 된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정서로 따지자면, 가정 내에서 내 아이를 키우던, 집안일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학교라는 사회에 속한 아이를 따라 부모에서 학부모로 지위가 변함을 의미한다. 흔히들, 내 자식 내가 이렇게 키우든 저렇게 키우든 상관마시오라고 말할 때는, 가정사가 되므로 왈가왈부할 수 없지만, 아이가 학교에 가고 나의 지위가 학부모가 된다는 것은, 사회적 역할을 부여받음으로써 가정사가 아니라 공식화된 사회적행동이 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 말하는대로, 다른 학부모와, 학교를 상대로 한 관계 정립에는 그만큼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상대의 말에 숨어 있는 속뜻을 나름대로 풀이해놓았는데, 이것은 정답이라기보다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사람들의 말에는 속뜻이 있으므로 잘 구분하고 대처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이건 굳이 학부모 세계의 일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지 이 책에서는 상대를 다른 학부모와 학교, 혹은 교사로 설정을 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이야기로 발전했을 뿐이다. 이 내용을 다른 사회생활에 적용해도 무리는 없어보인다.

이제 이 책의 단점을 얘기하자면, 외국의 사례를 에로 든 외국의 자녀교육서이기 때문에 학부모 세계의 보편적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왜냐면,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은 서방세계의 교육환경과는 다른 독특함이 있기 때문이다. 차라리, 일본의 자녀교육서였다면 비슷한 점을 많이 찾을 수 있을 것이고, 그게 아니라면 우리나라 교육환경에서 우리나라 자녀교육전문가가 조사하고 연구한 내용이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음에 있어서 사례로 제시된 내용들이 우리의 상황과는 많이 다르다는 걸 염두에 두어야할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별세개밖에 주지 않은 이유가 설명되리라 생각한다. 학부모가 된다는 것은 또다른 사회 속 관계를 만들고 유지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학부모의 영향이 우리나라만큼 큰 나라가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학부모의 사회적 역할은 크다. 자식사랑이 오히려 자녀를 올바르게 키우지 못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우리는 최근의 여타 사건들을 보면서 공감하고 있을 것이다. 학부모로서의 역할과 의무를 다시 한번 되새기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