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 현대예술에 대한 거침없는 풍자
에프라임 키숀 지음, 반성완 옮김 / 마음산책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한때는, 현대사회의 주류로 살아가기 위한 교양을 쌓는다며, 미술관이며 전시회에 쫓아다닌 적이 있다. 그때는,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그림이나 전시물을 보며, 그림이나 전시물, 그 자체를 두고 다시 그것을 설명한 책자나 자료를 찾아서 머리 속에 꾸역꾸역 집어넣어야하는 수고마저 아끼지 않았다. 그랬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내 머리 속에 남아있는 작품은 없.다.

몇년을 그렇게 보낸 후, 나름대로 고흐와 클림트의 작품에 빠져 즐기기도 했는데, 이론서나 코멘트 없이도 내 나름의 미적 공감을 얻었기 때문이었고, 그래서, 그들의 그림에 대한 해석이 다른 전문가들과 다르더라도 '모든 예술이 한가지로 해석된다면 그건 예술도 아니지'라며 건방을 떨었다. 이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고, 내가 미술작품이 아닌 책을 읽으면서도 마찬가지로 느끼는 부분이기도 하다.

어떤 작품은, 나는 전혀 이해할 수 없는 난해한 구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남들에게는 대단한 책이 되기도 하고, 유치하다 싶은 책이라도 그걸 읽을 때 나의 심리에 따라 괜찮은 책이 되기도 했다. 물론 수많은 책을 두고 쓴 비평가들의 목소리는 나와는 상관없는 이야기기도 하다. 책을 대할 때는 내 주관을 많이 개입시키는데 비해 내가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는 남들에 맞춰야하지 않을까하는 고민을 하게 되는 건 참 아이러니하다.

어쨌든, 이 책을 읽으면서, 약간의 통쾌함을 느낀 건 바로 이런 점에서일 것이다. 그러나, 저자의 글은 날카로운 가시가 돋힌 독설처럼 여겨지기도 하는데, 이는, 인터넷 상에서 알게 된 어떤 블로거의 글을 연상시키기도 했다. 일견 이 책은, 해당 비평가들로부터 미친놈 소리를 들었을 법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하거나, 쓰레기 전시장같은 작품들을 비판하는 그의 목소리에는, 작품 자체에 대한 비판보다 그런 작품을 평하는 비평가들에게 향하고 있다. 바로, 피카소가 그린 그림에 조롱이 담겨있다고 보는 그의 시각, 무조건 어렵고 난해하게 만들어놓으면 잘난 비평가들이나 무지한 대중들을 속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작가들을 비꼬는 그의 목소리가 잘 드러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에 전적으로 공감하는 바는 아니나, 글의 다양성 측면에서, 예술에 무지한 나같은 독자의 가려움을 긁어준 그 시도에 대해 공감을 표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