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신문 읽는 여인
해리엇 스콧 체스먼 지음, 임후성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메리 커샛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거의 없었다. 인상파니 뭐니하며 이름이 오르내리긴 했지만, 메리 커샛의 이름은 나에게 각인된 바가 없었다. 그래서 이 책을 읽기 전 조금 망설였다고나할까? 앞 표지의 그림을 보고, 이 여자 이야기인가? 하고 짐작했을 뿐이었다.

인상파를 거론할 때 등장하는 수많은 화가들 틈새에서 메리 커샛을 찾아본다. 그녀의 그림은 많은 수가 아기와 함께 있는 여인의 그림이었다. 그 중에서도 그녀의 언니, 리디아를 모델로 한 그림 중에도 아이와 함께 있는 그림이 있긴 한데, 다른 그림에서 느끼는 것과는 달랐다.

자, 책으로 돌아가보자. 메리 커셋은 프랑스에서 화가로서의 삶을 살면서 브라이트병을 앓고 있는 그녀의 언니 리디아를 모델로 한 몇개의 작품을 그렸다. 이 책은, 리디아의 시각으로 메리커셋을 바라보고 그녀의 연인인 드가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메리 커샛과 드가의 러브스토리는 리디아의 주변에 머물 뿐이다. 병을 앓고 있으면서 하루하루 죽음을 기다리는 여자, 리디아는 자신의 삶을 동생인 메리 커샛의 그림을 통해 연장한다. 그림의 모델이 되는 일은 고되고 힘든 일이지만 메리 커샛에게는 화가로서의 영감을, 리디아 자신에게는 삶의 연장을 의미했다.

병색이 짙어질수록 리디아는 자신의 삶이 다른 이들처럼 지속될 수 없는 아픔을 포착해내는 동생의 시선을 느낀다. 병으로 몸져 누워있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사람은 생각이 많아진다. 리디아 역시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수많은 생각에 빠져든다. 그림의 모델로서 시간을 붙잡고 있을 때도 그녀는 그녀만의 생각 속으로 빠져든다. 한 마디로 이 소설은 리디아의 생각 속을 헤엄치며 나아간다. 그림을 소재로 하여 그림 속 모델을 주인공으로 한 다른 소설, 대표적으로는 슈발리에의 [진주귀고리소녀]를 생각할 수 있다. 국내에 먼저 번역되어 나름대로 인지도를 높인 슈발리에의 코멘트는 그것을 노린 것이라 생각된다. 그렇지만, 슈발리에의 소설 속 소녀와는 달리 이 소설 속 리디아는 침대에 누워, 혹은 모델로 움직임을 멈추고 있으면서 이야기를 한다. 그래서일까? 인물들에게서 느끼는 생동감, 극적 장치들은 미흡해보인다. 잔잔하고 조용한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말대로 리디아에 대한 자료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리디아의 심리 상태를 작가는 상상력으로 복원해낸다. 책을 읽으면서 가끔 나오는 그림은, 그러한 상상력을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는 좀 심심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