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누헤 1
미카 왈타리 지음, 이순희 옮김 / 동녘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아, 시누헤...두권의 시누헤 읽기를 드디어 끝냈다. 드디어!!라는 수식어가 딱 어울리는 소설. 어찌 그리 읽히는 게 더딘지, 다 읽어야한다는 책임이 없었다면 다 읽어내지 못했을 것같다. 마치 대하소설 10권짜리는 읽은듯한 느낌이 든다. 방대한 내용이 있다는 것과, 길고 지루한 싸움을 끝냈다는 두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말이다.

 

솔직히 말해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접해보지 않았던 것도 아니고, 인문서적을 통해 이집트를 많이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읽기 힘들었다. 파로오의 입장에서 쓴 글이 아니라 의사의 길을 가는 시누헤의 입장에서 쓴 글이라 파라오 중심의 글이 아니라는 점에서 신선함을 느꼈으나 시누헤라는 인물에 도저히 감정이입이 안되었던 것이다.

 

시누헤가 주인공이긴 하지만, 나에게는 노예이자 하인인 카프카가 더 와닿는 인물이었고 카프카의 처신이 더욱 이해가 가는 편이었다. 혼란과 무질서의 세계에서 시누헤를 붙들어준 것은 파라오도, 그의 신념도, 그가 사랑한 여인들도 아니라 바로 카프카였다고 생각한다. 가장 현실적인 인물이기도 했고 살아가는 방법을 아는 자였다.

 

그러나, 물론 시누헤의 여행을 통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는 점은 부인하지 않겠다. 이집트의 정치적 상황은 물론이고, 이집트의 하층민의 생활, 귀족이나 파라오가 아닌 이들의 삶을 볼 수 있었으니 이 책의 의미는 거기에서 찾아야할 듯하다. 내가 알고 있는 파라오와 다른 파라오의 모습, 신에 집착하고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공개적 비공개적 싸움을 계속해야 했던 파라오의 모습을 보았다. 또, 그러한 귀족사회의 혼란 속에서 이집트 민중들의 가난과, 고통이 어떻게 무시되고 있었는지를 보았다.

 

카프카라는 인물은,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거나 그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살아가는 인물이다. 비록, 그가 가난한 사람들의 편에서 의적처럼 살아간 인물은 아니었지만, 그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방법을 알고 있는 자였다. 시누헤와 카프카가 이야기를 나눌 때, 시누헤는 시종일관 카프카의 무례함과 오만함을 보았지만, 나는 시누헤의 멍청함을 보았다. 노예인 카프카보다도 사회를 보는 눈이 밝지 못했던 시누헤였지만, 자신의 의술을 가난한 자들을 위해 사용하는 모습만은 본받을만하였다. 그 점조차 없었다면, 시누헤는 의미없는 삶을 살았을 것이라 여겨질 정도이다.

 

더군다나, 시누헤가 네페르네페르네페르에게 빠져 가진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부모의 소박한 꿈마저 버려지는 모습을 보앗을 때는 어찌나 분통이 터지던지, 아, 눈먼 남자여~!! 라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그나마 미네아와의 사랑이 없었다면 한심한 남자의 모습을 영원히 간직했으리라..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이 바로 미네아와의 사건이다. 미로 속의 미노타우로스 신화가 겹쳐지면서 지루했던 시누헤의 여행에 생동감이 넘치는 부분이 되었다. 그러나, 미네아의 죽음을 뒤로하고 다시 시누헤가 이집트의 일상으로 돌아와서부터 또다시 지루한 여행이 계속되었다. 사실, 전쟁과 관련된 부분이 나와 같은 여성(전쟁이나 싸움에 과심없는, 혹은 한참 유행이었던 시뮬레이션게임애도 흥미가 전혀 없는)들에게는 지루하기 짝이 없었을듯.

 

그러나, 시누헤가 이집트 귀족의 일상이나, 파라오와 호화로운 생활을 할 때 보여준 권태로움과 지루함에 비해 시신처리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나, 악어꼬리술집을 경영하며 곡물을 팔아 이익을 남기는 카프카의 생활력은 재미를 더한다. 전체적으로는 끝까지 읽기가 힘든 소설이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이 소설은 파라오의 권력투쟁기도 아니요, 이집트에서 의사로 살아가기 위한 지식과 의술의 향상을 보여주는 이야기도 아니요, 혼란스러운 이집트에서의 신-아몬과 아톤-에 대한 이야기도 아니다.

 

아케나톤의 혁명적 시도도, 마치 정신병자의 행동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처럼 그려져 있어 혁명이라고 이름붙이기 민망스러울 정도이다. 마치, 요즘의 정치상황을 보는듯한 느낌도 든다. 사람들이 자유를 억압당한 채 살았을 때는 그게 숙명이려니 생각하고 입 한번 놀리지 못하고 살았지만 귀족과 노예가 다같이 평등하다는 사상과 더불어 자유가 주어졌을 때 그 자유를 오히려 제대로 누리지 못한채 그때가 좋았어라고 말하는 것이다. 요즘 어른들이 모 대통령시절이 훨씬 좋았다는 말을 할 때마다 느끼는 괴리감과 똑같다. 사실, 언제 우리가 대통령을 놓고 농담을 했고, 대통령이 하는 일에 대놓고 반대를 해봤는가? 그러한 자유가 주어졌지만 그 자유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오히려 과거로의 회귀를 꿈꾸는 자들이 여전히 설치는 사회, 그 사회의 모습이 이 소설 속에 녹아있었다. 물론 아케나톤의 행적이 모두 이해되는 바는 아니나 적어도 과도기였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의 우리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