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 수 없는 미래 - 황폐한 풍요의 시대, 돈으로 살 수 없는 삶의 방식을 모색하다
마이클 해리스 지음, 김하늘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장 쓰레기언덕으로 시작한다. 산불이 나서 연기 기둥이 치솟고 재가 쏟아지는 곳에서 아이스크림을 먹고 있던 저자는 세상이 타들어가는 동안에도 태평하게 아이스크림을 먹으면서도 아무렇지도 않았다고 회상한다. 그만큼 무뎌졌기 때문일까?

하지만 점점 괴리감을 느껴가던 저자는 소비를 부추기는 광고, 도파민 시스템, 인류의 생존을 위해 성장만이 답이라는 주장 등과 같은 ‘소비문화’가 우리의 현실을 어떻게 망가뜨리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마이클 해리스는 먼저 ‘성장'이라는 환상에서 깨어날 것을 이야기한다. 1972년 MIT 연구팀이 발간한 보고서 <성장의 한계>의 공동저자인 요르겐 랜더스를 찾아간다. 잘사는 국가에서 GDP가 상승하더라도 서민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으며, 부유층에만 이득을 안겨주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기대도 오히려 소비자의 수요가 늘어나 긍정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들 사이의 격차는 벌어지기만 한다.

그런가하면 우리 뇌의 도파민 시스템도 소비문화를 자꾸 강화하게 하는 요인이다. ‘광고’를 통해 필요해서 소비하는 것이 아닌 욕망에 의한 소비로 변질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는 솔직히 인플루언서들의 광고에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는 편이지만, 나의 소비패턴을 읽고 그것을 사라고 부추기는 수많은 광고를 만나다보면 지금 당장 필요하지 않음에도 소비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해리스는 그런 우리에게 희망은 없다고 생각하는걸까? 2부로 넘어가면 수제, 숭고, 돌봄을 통해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지 않은가를 이야기한다. 소비가 아닌, 소비로 나를 정의하지 않아도 되는 삶을 찾아간다.

손으로 자작나무 카누를 만드는 존 가드너.

그를 통해 직접 물건을 만들고 노동을 하는 과정에서 물질에 대한 진정성을 느낄 수 있다. 소비문화는 우리를 자연의 일부가 아니라 자연의 지배자라고 착각하게 만든다. 그러나 저 거대한 자연의 아주 작은 일부임을 깨닫고 보면 물질과 소비에 더이상 집착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마이클 해리스는 치매에 걸린 어머니를 돌보는 경험을 통해 우리 세대가 겪어야 할 돌봄에 대해 생각할 것을 주문한다. 서로 보살핀다는 특징이 인간 문명을 정의할 수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더 확산될 것이다. 저자는 지금까지 우리가 물질과 소비 문화에 빠져 잊어버린 채 살고 있던 삶의 이야기에 대해 주목하라는 메시지를 던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