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 있는 집 아이들이 달라졌어요
김정희 지음 / 알마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재”도 유행이다.

요즘, 아이들이 있는 집에 [서재 만들기]가 유행인 것 같다. [독서]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책 읽기의 즐거움을 맛보게 하는 것이라기보다 또 하나의 부모의 욕심이 만들어낸 유행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귀에 딱지가 않도록 들어온 이야기지만, 무엇이든 강제로 하게 해서는 효과를 거둘 수 없다. 학교에서는 [독서]라는 대유행에 뒤질세라 학생기록부에 독서기록장을 넣는다는 말까지 있으니 과히 전 국민적인 이슈가 될 만하다. 게다가 ‘거실을 서재로’라는 이벤트의 여파까지 더해져 너도나도 집안에 아이들을 위한 서재 만들기에 여념이 없다. 그 옛날 보지도 않는 전집이 장식처럼 꽂혀 있던 것과 뭐가 다를까? 거실을 서재로 바꾸기만 하면 아이들은 텔레비전과 컴퓨터를 버리고 책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이 책을 손에 들고 제목과 목차를 보고 제일 먼저 생각한 것이 바로 이것이었다. 그럼 이 책에서는 어떻게 하라고 가르치는지(??) 한번 볼까? 미리 말하지만, 혹여 이 책을 읽을 다른 이들을 위해 조언을 한다면, [내 아이가 책을 읽는다](알마), [하루15분, 책 읽어주기의 힘](북라인)과 같은 책을 읽은 분이라면 굳이 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아이가 책을 좋아하고 책을 많이 읽게 될까를 고민하는 분보다는, 태교부터 시작해서 유아교육을 실천하다 지치신 분이라면 이 책을 읽는 것이 좋겠다. 그러니까 한마디로 이 책은 독서교육이나 서재 만들기가 주 내용이 아니라 엄마로서의 욕심이 내 아이에게 얼마나 많은 고통을 주었는지, 가족이 텔레비전에 의해 얼마나 해체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그 해결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책이 있는 집을 만드는 것은 하나의 과정일 뿐이다.

아이들을 기르고 키우는 과정에서 간접 체험을 하거나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하는 데 있어서 [독서]도 아주 중요하지만, 그것만이 다라는 생각은 위험하다. 책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독서를 강요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더 큰 고통이다. 중요한 것은, 내 아이를 위한 서재 만들기가 아니라 나(부모) 스스로 책을 읽고 이야기하는 환경일 것이다. 이 책의 저자 김정희 씨 역시, 아이가 스트레스성 위염으로 병원치료를 받고, 텔레비전 앞에서 대화 없는 가정을 경험하고 난 후 결심을 통해 책이 있는 집을 만들게 되었다. 다행히도 아이들이 책을 친구로 여길 수 있게 되었으니 그 방법은 성공적인 것이었다. 책을 통해 가족 간의 대화도 더 풍부해졌고, 남과 조금 다르게 생각하는 치영이에게도 아주 좋은 친구가 되어주었다. 그러나 모든 아이들이 이러리라고는 생각하지 말자. 책은, 아이들의 친구는 될 수 있지만, 독서라는 행동이 아이들의 짐이 되게 하지는 말아야 한다. 따라서, 이 책을 읽는 동안 우리는 서재 만들기 같은 열풍에 휩쓸릴 것이 아니라, 아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인지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반대로 하기 싫은 것은 무엇인지 왜 그런지 하는 것을 서로 이야기하고 생각을 나눔으로써 가정의 해체를 막고 아이들에게 정서적 안정을 찾아주는 것에 대해 더 고민해야 할 것이다.

안타깝게도, 제목이나 앞뒤 표지를 통해 [독서와 서재 만들기]라는 유행에 휩쓸린 듯한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다. 교육환경을 바꿈으로써 아이들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모의 교육관에 대해 더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