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먹는 여우 - 좋은아이책 ㅣ 책 먹는 여우
프란치스카 비어만 지음, 김경연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1년 10월
평점 :
책먹는 여우, 라는 제목을 보고, 아는 이가 이렇게 말했다.
혹시 저 여우, 진짜로 책을 먹는건 아니겠죠? 라고...
나도 처음엔, 저 여우씨가 책을 먹는다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저 비유적인 표현이겠거니 했는데, 어, 진짜 책을 먹는거다. 그것도 냠냠 맛있게 소금과 후추까지 쳐서. 이 이야기는 책을 사랑하고 책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게 책을 읽는 의미와 책을 사랑하는 방법, 도서관 이용하는 방법 등을 아주 비유적으로 재미있게 그려낸 동화였던 것이다. 책을 먹는 여우씨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그런 것들을 알게 된다. 물론, 책의 표면적인 내용만 읽는다면 단순히 책을 찢어먹는 버릇없는 여우씨 이야기겠지만, 그 내면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게 된다면 여우씨의 책 먹는 식탁에 함께 동참하고 싶어질 것이다.
아이들 책은, 특히 비유적인 표현이 많은 것 같다. 어쩌면 어른들보다 아이들이 더 그런 비유적인 표현을 잘 이해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우씨는, 수많은 책을 양식으로 삼았고, 마음의 살을 찌워나갈 수 있었다. 읽을거리가 없어서 손에 집히는대로 읽었던 여우 씨는 몸과 마음이 다 고생을 한다. 사실, 여우 씨처럼 좋은 읽을거리를 찾을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한 우리 아이들에게는 좋은 책을 고르는 안목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좋은 책이란 어떤 책이며 그런 책은 어떻게 고를 수 있는걸까? 이것 역시 경험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아이들이 책을 자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한다는 걸 또다시 절실하게 느끼게 되었다. 엄마 아빠의 관점이 아이의 독서를 좌우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처음 독서의 틀은 잡아줄 수 잇을 듯하다. 여우 씨가 책을 읽고 그것으로 마음의 양식을 쌓아 마지막에는 자기 책을 써내기까지 한다. 여우 씨의 책은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 주었지만, 여우 씨는 책을 읽는(먹는) 즐거움이 더 커졌다고 생각할 뿐이다.
책읽기를 시작한 아이들에게 읽어주면 좋을 것 같다.
아참, 여우 씨 앞집에는 유승준이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