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하늘말나리야 - 아동용,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책읽는 가족 1
이금이 글, 송진헌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어쩌다보니 이금이 작가의 글을 연이어 읽게 되었다. 청소년문학이나 어린이문학 쪽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그리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나는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책을 읽고 있다. 다들 이금이작가의 책을 추천하는 이유를 책을 읽고 나서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부모의 이혼 후 엄마와 함께 살게 된 미르와 아빠가 죽고 엄마가 재혼하여 할머니와 함께 사는 소희, 그리고 엄마가 죽은 후 아빠와 함께 살면서 선택적 함구증으로 말을 거의 하지 않는 바우가 이 이야기를 끌어가지만, 아이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미르의 부모, 소희의 할머니, 바우의 아빠에 이르기까지 어른들의 이야기까지 함께 포함한 동화이다.

먼저 읽었던 <주머니 속의 고래>에 나오는 연호와 이 책의 소희가 닮았다는 생각을 했는데, 책을 다 읽고 나니 또, 별로 그런 것 같지도 않다. 아마도 할머니가 키우는 아이이고, 할머니가 힘들게 키운다는 점에서 비슷하게 느껴졌나보다. 요즘처럼 한부모 자녀가 많은 시점에 그 아이들의 고민과 아픔을 잘 담아낸 듯하다. 예전이었다면, 왜 이런 결손가정(흔히들 말하는) 애들만 주인공으로 내세웠냐고 하겠지만, 한부모자녀가 많아진 요즘 우리 아이들의 고민을 잘 풀어낸 책이라고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부모는 언제나 부모입장에서 아이들을 생각한다. 그게 아이들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정작 아이의 입장이 되어보려고는 하지 않으면서 부모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화를 내기도 한다. 그러나, 부모가 부모이기 이전에 한 여성과 남성이요, 한 인간이듯이 아이들도 내 자식이기 이전에 한 인간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 책은 미르와 소희, 바우가 서로의 상처를 극복하고 진득한 우정을 형성하는 소설이면서, 농촌의 현실과 대응법을 보여준 소설이기도 하고, 부모의 이혼이나 죽음으로 인한 한부모자녀의 성장기이며, 그러한 부모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한 권의 책안에 너무나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으면서도 잘 어울려 작용하고 있다는 점은 이 책의 큰 장점이다. 게다가 책속 삽화는 정말이지 책의 분위기를 너무 잘 표현한 것 같다. 따스한 느낌이 드는 그림이다.

그리고 책속에 인용된 동시는 작가 자신의 작품은 아니지만 적절하게 잘 활용된 것 같아서 꼭 동시집도 구해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