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도서관 다봄 어린이 문학 쏙 3
앨런 그라츠 지음, 장한라 옮김 / 다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냐면 몇몇 학부모들이 의기투합을 하고는 그 책이 초등학생에게는 부적절하다고 그랬거든, 학교 이사회에서도 그 의견에 찬성했고."

“적절하지 않다고요? 무슨 소리예요?"

"그러니까 그 책을 너한테든 다른 아이들한테든 대출해 줄 수 없다는 소리야. 학교 이사회에 얘기를 해서 이 말도 안 되는 조치를 뒤집기 전까지는 그러니까, 에이미 앤, 네가 제일 좋아하는 책은 학교 도서실에서 대출이 금지되었단다.”

 p.16


초등학교 4학년인 에이미 앤은 친구라곤 레베카가 유일한 친구이고, 매일 학교 도서실에서 책을 읽는 아이다. 집에서도 부모님과 동생을 피해 화장실에 가서야 안정을 찾는다. 머리 속에 하고 싶은 말은 잔뜩 있지만 입밖에 내지 않는 아이다. 


에이미 앤은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 학교 도서실은 에이미 앤에게는 좋아하는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는 장소면서, 혼자만의 아지트 같은 곳이다. 어느날, 에이미 앤이 가장 좋아하는 책이 도서관에서 퇴출된 사실을 알게 된다. 너무 좋아하는 책이기에 몇 번을 다시 읽어도 재미있는 책이다. 그런 책이 왜 초등학생이 읽으면 안되는 책이 되어버린 것일까? 


도서실의 사서 선생님은 학교 이사회에 가서 책을 뺀 것에 대한 부당함을 이야기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기 위해 애를 쓴다. 에이미 앤에게 이사회에서 발언을 하는 것이 어떨지 권유하게 되고, 앤은 자기가 그 책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책이 아님을 발표하게 되었다. 


“아이들 각자가 무얼 읽을 수 있고 읽을 수 없는지 결정하는 권한은 부모님 각자의 몫입니다. 하지만 다른 모든 아이들에게 똑같은 결정을 강요할 수는 없죠. 학교 이사회가 이 책들을 없애라며 밀실에서 독단적으로 내린 결정을 뒤집기를, 또 도서실에 있는 자료에 대해 아직도 우려하는 부모가 있다면 바로 이 이사회가 수립한 재검토 규정을 따를 것을 정중히 요청합니다. 감사합니다." p.43


선생님의 발언 후에 에이미 앤도 발언을 해야 했지만, 결국 하지 못했다. 평소 에이미 앤의 성격이 그대로 드러나는 순간이다. 머릿속에서는 온갖 말들이 준비되어 있었지만, 결국 한 마디도 하지 못했다. 


그동안 에이미 앤은 가족들에게조차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살았다. 착한 딸, 착한 언니, 착한 학생으로 살아온 탓이다. 이사회에서의 일 이후로 에이미 앤은 자신이 책 속 주인공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책 속 주인공들은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해나간다. 나서서 행동하고 자기 주변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여기까지 읽었을 때, 나는 앤이 행동으로 옮길 뭔가를 준비할 것이라 생각했다. 이 책의 주인공은 바로 에이미 앤이기 때문이다. 


가끔가다 내가 책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인 것처럼 구는 게 좋다. 엄마랑 아빠랑 동생들이랑 레베카도 모두 등장인물이고, 어쩌면 존스 선생님도, 또 우리 반 담임인 본선생님과 반 아이들도 말이다. 그렇지만 내가 주인공이다. 벌어지는 일들을 설명하는 것도 나고, 사건 한가운데 서 있는 것도 나다. 딱 하나 문제가 있다면, 주인공한테 단순히 사건이 벌어지기만 해서는 결코 최고의 책이 될 수 없다는 점이다.

최고의 책에서는 주인공들이 무언가를 행동에 옮긴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으로 도망을 치는 행동처럼 말이다. 바로 이 때문에 나는 결코 책의 주인공이 될 수가 없다. 

나는 아무것도 행동에 옮기질 않으니까. p.54


나도 어렸을 때, 시끄러운 집을 피해 책 속으로 파고 들었던 기억이 있다. 여전히 책을 읽고 있을 때 나만의 시간과 공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느낀다. 많은 것을 책을 통해 배웠고, 책이 있어서 즐겁고 행복했다. 


만약 아이들이 좋아하는 책들이 읽을 수 없도록 금서가 되거나 도서실에서 치워지거나 한다면 나는 어떤 행동을 할 수 있을까? 어쩌면 '말 잘 듣는 착한 아이'인 나는 어른들이 시키는대로 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책 속의 다양한 사건 사고를 접한 나'였다면 분명 움직였을 것 같다. 


앤은 친구 레베카, 대니와 함께 비밀의 사물함 도서관을 운영하게 된다. 이 도서관을 만들기까지 친구들이 비밀리에 책을 모으고 빌려 읽는 대목들은 모험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든다. 사실 어른들 몰래 공유하는 '아이들만의 비밀'만큼 재미있는 것이 또 있으랴. 아이들은 어른들이 금지한 책을 읽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 그리고 학교 도서실에 금지되어 사라지는 책을 막기 위해 기상천외한 작전을 펼친다.


한 권의 책이 마치 영화처럼 몰입감이 대단하다. 위기가 시련(재앙이라고....묘사한)을 격으면서 아이들은 한뼘 더 성장한다. 초등학생들이 읽기에 부적절하다고 생각해서 도서실에서 빼버린 책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기 위해 역발상을 하게 된다. 어쩌면 이리도 깜찍한 생각들을 하는지...


"그렇지만 이걸 봐. 《멍청이들》은 '부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아이들이 부모를 거역하도록 부추길 수도 있다'면서 항의를 받았어. 이 수수께끼 책은 수수께끼를 풀지 못한 아이들의 기분을 나쁘게 만들었다는 이유로 금지당했어. 《우리 선생님은 외계인》은 '주인공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대신 자기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는 인물로 묘사한다'면서 항의를 받았고, 또 '재산을 파괴한다.' '아이들에게 거짓말하는 법을 가르친다' '기분을 꿀꿀하게 만든다' '가족이라는 가치를 해친다.' '선정적이다.' '배배 꼬여 있다.' '너무 성숙하다.' '너무 미성숙하다' '문법이 별로다' '부족한 영양 섭취를 조장한다.' '방귀라는 말이 스물네 번 등장한다...."  p.245


어른들의 잣대로 여기저기 재단이 된 책들을 상상해본다. 마치 지나치게 청결을 강조해서 오히려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처럼, 아이들을 위한다는 명목 아래 안되는 것 투성이로 만들어버렸다. 우리 도서관이, '위험한 도서관'이라면, 도서관이 존재할 이유는 없는 것이다. 


물론 '어른들의 가위질'은 아이들을 위한 일이라는 이름으로 미화된다. 비단 학교도서실만 그러할까? 이 책을 읽은 어린이들은 또래 친구들의 행동을 통해 부당한 것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방법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보기에 부당한 어른들의 행동도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아이들을 위해서 고민한 결과'에서 행동한 것이었다는 것도 알게 된다. 즉, 관점의 차이이다. 교훈을 주려고 급하게 결말을 만들어내지 않은 점이 마음에 든다. 정말 재미있는 이야기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