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과 유진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비슷한 시기에 <유진과 유진>과 <쥐를 잡자>를 읽게 된 건 우연이었다. 굳이 성폭력과 관계있는 문학작품을 읽을 것이라고 의도한 바는 없지만, 각각 다른 지인으로부터 두 권의 책을 소개받았기 때문이다. 앞서 읽었던 <쥐를 잡자>가 빠른 템포로 읽어나간 책이라면 <유진과 유진>은 천천히 읽어나간 책이다. 두 작품의 소재가 성폭력이라는 주제를 같이 다루고 있음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유진과 유진>은 동명이인의 유아가 같은 유치원에서 같이 겪은 성폭력이라는 사건 이후 다르게 성장한 아이들의 이야기이다. 유아를 상대로 한 성폭력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에 따라 아이들이 어떻게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큰유진은, 사건 이후 부모로부터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사건을 스스로 치유할 수 있게 된 경우다. 물론, 큰유진의 마음 속에는 치유되지 못한 채 응어리진 상처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큰유진은 그것이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는 확신을 갖고 밝게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작은 유진은, 피해자이면서도 오히려 죄의식을 갖고 살아가게 되었고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기억 속에서 지워버린 아이다. 그 상처는 드러나지는 않지만 되려 숨겨진 곳에서 곪아가고 있었다.

같은 사건을 대하는 두 부모의 대처방법은 확연하게 달랐다. 어쩌면 이것은 그러한 문제에 부딫쳤을 때 어떤 부모들이라 해도 두 가지 방법을 놓고 고민을 할 수 있다. 그 때의 선택에 따라 우리의 아이는 큰유진이 될수도 작은 유진이 될수도 있다. 그래서 어느 한쪽, 그러니까 이 책에서는 작은 유진의 부모를 탓할 수만은 없는 것이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이가 상처를 스스로 치유할 수 없는 어리고 여리기만 한 미성숙한 존재로 보인다. 사실, 큰유진의 부모처럼 대하기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아동(유아)성폭력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로서 권장(?)되어야 할 방법은 큰유진의 부모가 했던 방법이다.

큰유진은, 자신에게 일어난 사건을 회피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의 인생을 밝게 만들어갈 수 있었다. 또한 학교생활을 통해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여기서는 소라-를 사귈 수도 있었다. 작은 유진은 사건 자체에 대한 기억은 잃어버렸는지는 모르나 항상 뭔가 불안해하면서 살았다. 그 불안은 언제 어디서건 다시 터져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었으므로 작은유진 뿐만 아니라 작은유진의 주변인들-외할머니, 친가쪽 조부모, 부모-에게도 그 사건은 언제 터질 지 모르는 화약과도 같은 것으로서 늘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어보일 수 없는 작은 유진은 친구도 없이 늘 혼자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자신을 위로하고 사랑해줘야 할 부모로부터 냉대를 받았기 때문에 그 어떤 사람도 믿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성폭력 피해자가 오히려 죄인처럼 살아야 하는 사회가 되어버린 우리 주변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된다.

또래문화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만하다. 마냥 어리게만 보이는 그들에게도 생각하는 힘이 있고 그들만의 고민해결방법이 있다. 날라리로 치부되는 아이들도 그들만의 꿈이 있고 그들 나름의 고민해결을 위한 방법이 있다. 그러나 우리-어른들-는 날라리는 날라리이고, 범생이는 범생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날라리는 날라리끼리, 범생이는 범생이끼리 어울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 아이와 놀지 마라. 라는 말은, 어른들의 이분법으로 아이들을 재단한 결과 나온 말이다. 사건 당시 아이들의 편에 서서 문제해결을 도와주었던 건우엄마도 자신의 아이와 연관이 되면 그 아이의 편에 서지를 못한다. 자기 자식 앞에서는 이성이 속삭이는 소리보다 감성의 소리가 먼저인 것이다.

어른들은, 아이들을 품고 안아줘야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가까운 부모으 역할은 가장 크다. 나와 가장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받지 못하는 믿음을 다른 이에게서 얻기를 기대할 수는 없는 것이다. 두 부모 모두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헸던 행동이었지만 그 결과는 사뭇 달랐다. 가장 가까운 곳에 잇는 부모로부터 사랑을 확인하고 나면 아이들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만이 상처에서 빨리 회복하고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는 지름길일 것이다.

아이들이여, 자기 자신을 사랑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