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월의 종이비행기 - 2022 문학나눔 선정 도서 마주별 고학년 동화 4
최은영 지음, 김소희 그림 / 마주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루탄이니 사과탄이니 하는 것이 학교 안에서 터지고 전경, 백골단에 대항하여 쇠파이프 들고 앞장서던 선배들, 동기들도 기억난다. 내가 대학생이던 그 시절 나는 정치적 행동에 적극적이지 않은 학생이었다. 당시 친구였던 ㅈ 이 나를 꽤나 비판했었다. 국가의 횡포에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 우리 하나하나가 힘을 합쳐 한목소리를내야 한다며 …


이 책은 어린이책이지만 나의 대학시절을 떠올리게 하였다. 당시의 시대상황을 보여주는 단어들과 광주항쟁과 유월민주화투쟁 등이 이 책을 읽는 어린이들에게는 많이 낯설 것 같다. 그래서인지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꽤 많아보인다. (아니 그런 것까지 구체적으로 하나하나 알려주며 읽을 필요까지는 없는 것일수도)


누런 갱지에 인쇄된 가정통신문, 학교에 가져가기 위해 모으던 폐지와 빈병, 국민학교라 불리던 그 시절이다. 굴다리 아래 '할매식당'에서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동규가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동규는 부모님이 없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엄마는 동규가 어렸을 때 돌아가셨고, 아빠는 재혼을 해서 다른 집에서 산다. 아빠는 동구더러 함께 살자고 했지만, 동규는 가지 않는다. 새엄마라고 불러야 할 지 아주머니라고 불러야 할지도 헷갈리는 그 분과 함깨 살고 싶지 않아서이다.


동규는, 종이비행기를 자주 접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할머니는 동규가 비행기 접는 것을 꺼려한다. 동규 역시 자신이 무의식중에 종이비행기를 접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만 그게 왜인지는 잘 모른다. 할머니의 반응으로 볼 때 '종이비행기'는 무언가를 떠올리게 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이 '유월의 종이비행기'라는 것도 그런 이유일 것이라 생각하게 한다.


동규의 학급에는 아이들 위에 군림하는 민석이라는 아이가 있다. 동네에서 제일 큰 병원의 병원장 아들이다. 민석이는 반 아이들을 자기 수하처럼 부린다. 그 중에 승우라는 아이를 특히 많이 괴롭히는데, 승우는 늘 그런 민석이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반 아이들은 승우를 유달리 괴롭히는 민석이를 말리지 않는다. 아마도 그렇게 했다가는 그 불똥이 자기에게 튈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동규도 마찬가지다. 동규는 남의 일에는 일체 관심이 없다. 학교에서도 튀지 않게 지낸다. 그런 아이들과는 달리 미진이는 이 상황을 바로 잡아보려고 애쓴다. 반 아이들이 함께 해주면 좋겠지만 언제나 미진이 혼자이다. 선생님은 반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믿지 않는 눈치이다. (아니 알면서도 눈감아주는 걸까?)


동규집에는 준희라는 대학생이 하숙을 하고 있다. 할머니는 유독 준희에게 신경을 쓰는데 늦게 다니거나 하면 걱정을 한다. 그러던 어느날 동규 엄마의 친구라는 사람이 찾아오는데, 동규는 그동안 궁금하지 않았던 엄마에 대해 알고 싶어진다. 할머니는 동규에게 엄마의 이야기를 하지 못하도록 하고 아빠에게 물어봐야겠다고 생각한 동규가 명동에 잇는 아빠에게 가다가 데모 현장을 보게 된다. 아빠의 도움으로 집으로 온 동규는 준희누나가 백골단에게 쫓겨 들어오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이 이야기는, 과거의 광주의 이야기를 끌고 들어온다. 대통령의 독재로 인해 무고한 광주시민을 무참히 짓밟았던 그때의 이야기를. 수많은 희생이 있었음에도 무엇이 변했냐며 회의적인 사람들과, 지금은 그때와 다르다, 그때처럼 당하지 않는다, 모두가 같이 행동한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교차된다. 6월 항쟁은 그렇게 타오른다.


이 책은 이러한 역사적 상황만을 보여주지 않는다. 동규의 시점에서 동규와 같은 나이의 어린이 시점에서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독재'를 끄집어낸다. 친구들 사이에서 군림하는 민석이의 행동에 아무도 반발하지 않고 나만 안 당하면 된다고 생각하며 몸을 사리던 아이들이 모두 함께 나서 대항하자 민석이도 힘을 쓸 수 없게 된다. 어떻게 보면 우리는 학교라는 작은 사회에서 이미 그런 정치적 경험을 하고 있다. 학교에서마저 무기력하게 당하고만 있다면 그들이 자라 사회로 나와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최근 정치적 상황을 보면 우려가 되는 일이 하나둘이 아니다. 자기 이익이 더 우선인 어른들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 아이들이 과연 무엇을 배울까? 이 책은 아이들에게 한 사람, 한 사람의 힘은 약하지만 그들이 하나되어 움직일 때 무엇을 바꿀 수 있는지 한번 더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