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동양신화 중국편 - 신화학자 정재서 교수가 들려주는
정재서 지음 / 김영사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신화라고 하면 그리스로마신화밖에 모르는 사람이 많다. 사실 그것도 제대로 읽은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동양신화와 그리스로마신화, 그리고 우리 신화에 이르기까지 비교를 하면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재미있었다.

이 책은 역시 독서동아리에서 읽게 된 책이다. 개인적인 관심사가 있어서 여러 신화나 설화를 읽고 있는데 동아리활동을 하며 읽게 되면 다시 꼼꼼하게 읽는다. 이번에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동양사람이든 서양사람이든 어치피 동일한 사람이다보니 비슷한 상상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삶의 방식이나 생각의 차이는 같으면서 다른 것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동양신화와 서양신화는 같은 듯 다른 이야기이다. 신화에는 인류 공통의 생각이 담겨있으면서 각 민족의 독특한 사유 방식이 담겨있다.

그리스 사람들은 만물 중에서도 인간을 가장 으뜸으로 여겼기 때문에 사람과 동물이 섞여있는 존재를 부정적으로 나타내었다. 반명 고대 동양에서는 자연에 대한 경외심이 높아 자연에 가까운 동물을 인간보다 신성시하였고 인간 중심으로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스로마신화에 비해서는 성스러운 존재를 동물로 표현한 것이 많은 편이다. 이 차이를 신화를 읽어가는 동안 계속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책의 제목을 보면 이야기 동양신화 [중국편]이라고 되어 있다. 나는 동양의 신화 중에서 중국의 신화만 다룬다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중국 신화 속에 중국 신화 뿐만 아니라 동양의 여러 민족의 신화가 함께 담겨 있으므로 중국신화를 동양신화라고 봐도 좋을 것이라고 말한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이 책에서 좀 맘에 들지 않았던 부분이다. 중국신화를 동양신화라고 본다면 그냥 '동양신화'라는 시각에서 이야기를 풀어가면 되는데, '동양신화'라고 했다가 '중국신화'라고 했다가 왔다갔다 하는 통에 '동양신화'를 읽고 있는지 '중국신화'를 읽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중국이 모든 것을(동양의 것 뿐만 아니라 서양의 것까지도)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터라 그게 더 마음에 걸렸는지도 모르겠다. 아예 동양신화라는 틀 안에 중국신화를 포함해서 이야기하면 더 좋았을텐데, 중국신화라는 틀 안에 동양신화를 집어넣은 듯 하여 그건 내 마음에서 갈라두었다. 저자는 당연히 한국신화와 비교하거나 후대의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상관관계를 살폈다고 하는데 그래도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여기서 좀더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여신'에 대한 관점이다. 남신 중심의 서술을 지양하고 여신의 원해 자리를 찾아주려고 노력한 점이 곳곳에 보인다. 여성의 입장에서 볼 때는 여전히 부족(^^)해보이지만 말이다.

크게 11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부 하늘과 땅이 열리고 사람이 생겨났다, 2부 창조와 치유, 죽음과 사람을 주관하는 여신들, 3부 천상과 지상을 지배한 큰산들, 4부 자연계의 신들, 5부 문명의 창시자들, 6부 전쟁과 모험 그리고 영웅들, 7부 시조 탄생 신화와 민족의 성립, 8부 성군과 폭군의 시대, 9부 먼 곳의 이상한 나라, 괴상한 사람들, 10부 신기하고 별난 사물들의 세계, 11부 낙원과 지하 세계가 그것이다.

신들의 지위나 역할이 시대에 따라 변하거나 중첩되기도 하여 같은 내용일 자주 되풀이되는데, 앞선 내용을 은근슬쩍 복습할 수 있다 생각하면 괜찮다.

세계 각 민족에게는 저마다 나름의 창조신화가 있는데 대부분 혼돈으로부터 창조되었다고 한다. "암흑과 혼돈은 '인격신'의 모습으로 표현되고는 하는데 신화시대 사람들은 자연현상을 사람에 빗대어 '의인화'하여 설명하기를 좋아했다"(P.25)고 한다. 그러므로 신화는 자연 현상을 인간의 행동과 성격에 빗대어 만든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혼돈은 세상의 중앙을 다스리는 임금이 되었고 남쪽 바다를 다스리는 숙과 북쪽 바다를 다스리는 홀이 있었다. 숙과 홀은 '시간'이면서 '인간'을 상징한다. 혼돈이 숙과 홀에게 죽임을 당한다는 것은 혼돈의 시대가 시간이 지배하는 시대이자 인간이 지배하는 역사의 시대로 들어섰음을 의미한다고 한다.

혼돈 속에서 태어난 거인이 죽음으로써 세상이 만들어어지는 방식을 신체화생설 혹은 거인화생설이라고 부른다. 거인이 죽어서 천지자연을 이룬다는 이야기는 동양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 비슷한 이갸기가 많다. 그러나 동양신화만의 특징을 찾아보자면, '절대적인 창조주'가 없다는 것이다. 혼돈으로부터의 천지창조는 저절로 그렇게 된 것이지 신의 의지에 의한 것이 아니다. 비슷한 신체화생설일지라도 동양신화는 생태적인 순환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라면 서양신화는 '최초의 희생', '최초의 살해' 등 의도적인 작용에 의해 세상이 생겨났다고 본다. 자연과 인간의 존재 원리를 '상생과 조화'에서 찾는 동양과 '대립과 극복'에서 찾는 서양의 차이기도 하다. 또한 동양은 거인의 몸이 통째로 변하는 것과 달리 서양은 신체를 절단하고 분리하여 자연으로 변한다. 이것에서도 차이를 알 수 있는데 동양의 통합적, 전일적 사고방식과 서양의 분석적, 논리적인 사고 방식이 그것이다. (P.42~43 요약)

동양신화에서 인류의 창조는여신 여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간이 흙에서 비롯되었다거나 여신이 인간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죽으면 흙으로 돌아가는 인간의 운명과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여성의 생식능력에 대한 고대인의 사유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여와는 왜 흙으로 인간을 빚었을까? 이것은 신석기 시대에 토기를 제작했던 데서 비롯되엇을 수 있다. 흙으로 그릇을 만들거나 사물을 밎어낼 수 있게 되자 자신을 읽으로 빚어내는 신을 상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세계 각처에는 비슷한 내용의 홍수 신화도 전해진다. 홍수 신화의 기본 내용은 대개 홍수로 세상이 휩쓸려간 뒤 극소수의 인간만이 살아남고 이들이 다시 인류를 번성시킨다는 것이다. 복희와 여와의 이야기는 중국 사천 지역에 전해오는 것인데 이런 종류의 신화는 홍수남매혼형 신화라고 한다.

남매혼 신화는 여와신화보다 뒤에 만들어졌다. 여신 여와가 황토를 뭉쳐 인간을 만드는 이야기가 여성이 중심이 되었던 모계사회적인 전통을 보여준다면 복희와 여와의 이야기는 남성과 여성이 일부일처를 이룬 가부장적 사회의 인식을 담고 있다. (P.56) 모계 사회에서 남성 중심 가부장 사회로 바뀌면서 독립적인 여신이었던 여와가 남성의 동생 혹은 배우자로 위치가 격하된다.

홍수 신화에도 동양과 서양의 차이가 드러난다. 서양에서는 인간에 대한 분노와 징벌의 의미로 일어난 홍수라면 동양에서는 순수한 자연재해나 신들끼리의 전쟁 탓 등 징벌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홍수 이후 살아남은 인간도 서양에서는 부부나 가족단위임에 비해서 동양에서는 미혼남녀인 경우가 많다. 신과 인간의 지위를 엄격히 구별했던 서양에 비해 신과 인간의 구별이 느슨하거나 신마저도 자연의 변화를 따라야 한다는 생각때문이다. 홍수남매혼형 신화는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퍼진 이야기 이유형이다.

여신의 지위가 격하된 것은 서양에서도 동일하다. 아프로디테는 본래 대지를 다스리는 여신이자 풍요를 상징하는 여신으로 지중해 일대에서 널리 숭배되었지만, 후대로 가면 속성은 변질되거나 축소 각색된다. 헤라도 당당한 대지의 여신이었다가 후대에는 제우스의 질투심 많은 부인이 된다.

여와 창조신화에서는 인간이 가축 뒤에 창조되기는 하지만, 인간 이후에 곡식이 창조된다. 인간을 창조의 궁극적 목적으로 비치지는 않는다. 이는 수렵이나 목축보다 뒤늦게 농업이 시작된 것을 의미한다.

또하나의 여신은 서왕모이다. 서왕모는 죽음의 여신이면서 영생과 불사의 능력을 지닌 생명의 여신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한나라때에 이르면 거이 영생과 불사의 여신으로만 숭배되는데, 여성에게는 보호자인 남성이 있어야 한다는 가부장적인 관념이 침투한 결과이다.

선녀와 나뭇꾼형 견우 직녀 신화는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와 일본에도 있다. 이 신화는 동아시아 전역에 퍼져 있다. 중국신화에서는 로맨스가 많지 않다. 그리스로마신화를 표준으로 삼아서 보면 로맨스가 없는 것이 이상하지만, 거꾸로 세계 여러 신화를 보면 오히려 로맨스가 많은 그리스로마신화가 예외적인 경우다.

그리스로마신화에는 제우스가 하늘을, 포세이돈이 바다를, 하데스가 지하세계를 맡아 다스렸다. 중국에서는 다섯명의 신이 동, 서, 남, 북, 중앙을 나누어 지배하였는데 이 오방이 단순히 공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만물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이자 작용 원리인 흙, 쇠, 물, 나무, 불, 즉 오행의 의미가 담겨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우주를 형성하는 다섯 개의 큰 기운을 신겨화하여 숭배했음을 알 수 있다.

어디까지를 신으로 보아야 할까? 영웅들, 이상하고 신비한 사람들, 신기한 능력을 가진 온갖 사물들도 신화로 볼 수 있을까? 설화와 전설의 영역에서 신화의 영역을 구분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일지도 모른다. 그것이 '신'이든 '괴물'이든 인간이 두려워했던 '자연 현상'을 극복하고 이겨냈던 사람들의 의지가 엿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