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욕망과 지혜의 문화사전 몸
샤오 춘레이 지음, 유소영 옮김 / 푸른숲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샤오춘레이, 이 책의 저자는 [몸]에 대해 의학적, 생물학적, 과학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전문가가 아니라 글을 쓰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이 책을 읽을 때는, 전문지식을 대하는 강박관념에서 조금은 벗어나도 된다. 대신, 다양한 문학적이고 문화적인 것과의 만남을 기대하라.
요 며칠 사이에, 몸과 관련된 책을 연거푸 읽게 되었다. 그 중 하나는 길벗어린이에서 나온 [머리부터 발끝까지]라는 어린이지식그림책이다. 어린이책이라고 얕보아서는 안된다. 생물학적, 과학적 지식이 거의 전무한 나에게는 어린이책이지만 상당한 지식을 알려주었으니까 말이다. 어쨌든, 머리부터 발끝까지를 이루고 있는 몸에 대해 알고 난 뒤, 이 책을 읽으니 그 느낌이 또 다르다. 대상독자층이 다른 책이긴 하지만.
자, 우리 몸을 이루는 구조에 대해선, 얄팍하나마 알아두었고, 이제 문화적으로 알아보는 [몸]을 읽을 차례다. 샤오춘레이도 사람의 머리에서부터 발까지, 그리고 겉과 속(피부와 뼈)까지 차례차례 이야기한다.
저자는 중국과 일본은 물론 서양의 문학작품과 예술품을 책 속으로 끌고 들어와 인간의 몸을 이야기한다. 일반적으로 서양인이 쓴 책에는 아시아 쪽 이야기가 아무래도 가볍게 다루어지는데 반해 이 책은 저자가 중국인이기 때문인지 중국의 다양한 문헌들의 내용을 접할 수 있다. 또한 옛 문헌을 비롯하여 현대의 이미지 자료까지 다양한 자료를 만나 볼 수 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일본의 자료도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데 비해 한국과 관련된 이야기는 하나도 없다는 점이지만 이는 이해해야 할듯하다. 책을 읽다보면 저자가 [몸]에 대한 자료를 얼마나 많이 제시하고 있는지 감탄이 나올 정도이다.
청나라가 머리카락을 자르려 하자 목을 내놓을지언정 머리카락을 자르려 하지 않았던 한족에게 머리카락은 한족의 문화적상징으로 보아야한다고 했는데, 이는 단발령이 시행되었을 때 부모님이 주신 머리카락을 자르려 하지 않았던 우리의 의식과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행위는 같은데 그 의식은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내용은 책 곳곳에 포진하고 있는데, 그런 것을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또한 물리적인 육체 뿐만 아니라, 눈빛, 냄새, 체취, 섹스와 같은 것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풀어놓는데 그 재미가 독특하다. 인간의 몸에 대해 이렇게 많은 이야기를 풀어놓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이야기가 무궁무진하다. 인간의 몸에 대해 한번쯤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