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5분 책읽어주기의 힘 -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짐 트렐리즈 지음, 눈사람 옮김 / 북라인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를 키우면서, 그 아이가 책을 좋아하는 아이, 독서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은 것은 거의 모든 부모의 생각일 것이다. 왜일까? 왜 아이들이 책을 읽었으면 하는 마음이 생기는걸까? 아이가 책을 읽었으면 바라는 그 부모는 책을 얼마나 읽고 있을까?

우리는, 책읽기의 중요성에 대해 수없이 들었고, 그래서 실천하고 싶어한다. 특히 자녀교육과 관계된 일이니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정작 왜 책을 읽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별로 없고, 어떻게 하면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될까라는 고민도 거의 없다. 그냥, 왜 우리 아이는 책을 읽지 않을까?만 생각한다. 책만 던져주면 아이가 책을 읽을거란 생각은 안이한 생각이다. 지금 이 글을 읽는 자기자신부터 돌아보자. 책이 옆에 있다고 덥썩 읽을만큼 독서광인지? 아니면, 책이 옆에 있어도 멀뚱거리며 쳐다볼 뿐인지.

아이가 책을 읽어야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이유는 이것이다. 어릴 때부터 책을 읽는다는 것은 정보지식의 습득도 있지만, 그보다는, 정서적 측면이 강하다. 책을 읽는 사람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은 보지 못했다. 또 집중력도 강한 편이다. 특히 어릴 때 부모와 함께 하는 독서체험은 평생을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에게 책을 읽어주는 부모의 관심과 더불어,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체험까지. 특히 요즘처럼 영상매체가 발달한 때에는 독서는 더더욱 그 진가를 발휘한다.

이 책에서는, 하루 15분,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라고 말한다. 그것도 책을 혼자서도 읽을 수 있는 나이가 되어도 하루 15분은 아이에게 책을 읽어줄 것을 권한다. 그래서, 이 책은 다른 독서권장책들과는 다르다. 독서는 지극히 개인적인 취미라고 생각해왔는데, 부모가 책을 읽어주면 개인적인 취미의 수준을 벗어나게 되고, 함께 읽는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아이가 아주 어려서 책을 읽을 줄 모를 때는 당연히 읽어주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아이가 글자를 읽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손을 놓아버리는 것이 대부분의 부모들일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14세가 될 때까지도 읽어주라고 한다. 아마도 내 생각에는 아이가, 문자를 읽을 수 있게 되었지만 책을 읽을 수 있게 된 것은 아니기 때문인듯 하다. 또한 부모가 함께 읽음으로써 아이와 소통할 수 있는 틈이 생겨날 수 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책을 접한 아이들은 사고의 폭이 넓어진다. 책읽기는, 책을 읽는 행위 뿐만 아니라 책읽기를 통한 정보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인간이 갖추어야 할 다양한 덕성, 감정 등의 습득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책을 통해 얻은 것을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갑자기 되는 일이 아니다. 배경지식은 오랜 기간 뇌속에 축적되는 것이다. 그래서 책을 읽는 사람에게는 당할 도리가 없다. 

 
이 책은, 아이가 책을 읽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진 부모에게 상당한 도움이 된다. 한가지 흠이라면, 구석구석 책읽기의 힘이 좋은 대학, 학문적 성공 등과 연관된다는 점이다. 물론 이런 점이 부모들로 하여금 책을 읽히고 싶게 만드는 동기부여가 될지는 모르지만, 한편으로는 씁쓸하다. 독서는, 대학진학이 아니라 독서 그 자체로서 충분히 매력적인 행동이라는 걸 알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