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는 얼마나 많은 별이 있을까요? - 에드윈 허블의 발견 똑똑한 책꽂이 26
이사벨 마리노프 지음, 데버라 마르세로 그림, 이강환 옮김 / 키다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심채경의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책을 읽은 후라서 그런지 이 그림책을 보는 순간 손이 갔다. 우선, 에드윈 허블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위인전 같은 느낌이겠지만, 그림책만이 주는 또다른 느낌도 있을 거라 기대하며 읽었다.

"아래를 내려다보지 말고 항상 별을 올려다보라.

당신이 보는 것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무엇이 우주를 존재하게 만들었는지 궁금해하라.

항상 오기심을 가져라."

-스티븐 호킹

우주를 바라보며 꿈을 키우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밤하늘을 바라보면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며 손짓을 해대던 그때와는 달리 요즘 사람들은 하늘을 올려다보지 않을 것 같다. 밤하늘의 별보다 불야성을 이룬 도시의 불빛을 더 아름답다고 느낄 지도 모른다.

별을 좋아하고 호기심이 많던 소년 허블은 밤이면 하늘을 올려다보며 궁금해했다.

"하늘에는 얼마나 많은 별이 있을까?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이 모든 것은 어디에서 왔을까?"

허블의 할아버지 윌리엄은 허블만큼이나 우주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기 때문에 허블에게 직접 만든 망원경을 선물하기도 했다. 허블은 수학, 라틴어, 독서를 좋아했고 그 중에서도 천문학을 가장 좋아하여 구할 수 있는 천문학 책은 모조리 읽었다고 한다. 독서는 내가 모르는 세상과 만날 수 있는 확실한 다리이다. 허블은 책 읽기를 좋아하기도 했지만, 자신의 관심사를 확대하여 지식과 정보를 받아들이는 데도 열심이었다. 천문학자가 되고 싶었던 허블은, 자신의 계획을 얘기하지만 아버지가 허락하지 않았다. 허블은 영국 옥스퍼드에서 법을 공부하고, 미국에 돌아와서는 고등학교 선생님이자 농구코치가 되었다고 한다.


별을 바라보며 꿈을 꾸던 아이였지만, 아버지의 말씀을 거역할 수는 없었나보다. 사실 그때나 지금이나 '천문학자'라는 직업이 그리 괜찮은 직업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특히 한국에서라면 더 그렇겠지? 하늘을 바라보며 꿈을 키워오던 아이에게 '나'라면 그 꿈을 지지해줄 수 있었을까? 사실 자신은 없다. 우주는 그 거리만큼이나 내게는 먼 존재이기 때문이다. 허블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야 자기 인생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아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일지, 그것이 그 아이의 인생에 어떤 의미일지 짐작하기란 쉽지 않다. 결국 자신이 가장 하고 싶었던 일을 하기 위해 달려간 허블을 보면서 내 아이의 미래를 상상해본다.

시카고 대학에서 다시 천문학을 공부한 허블의 첫 직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이 있는 윌슨산 천문대였다. 안드로메다 성운을 보면서 이런 나선모양의 성운이 우리 은하 안에 있는 먼지와 기체 구름인지, 아니면 다른 은하인지를 해결하고 싶었던 허블은 생각하고, 궁금해하고, 측정하고 계산했다. 허블은 1923년 변광성을 발견하고 안드로메다 성운은 성운이 아니라 수많은 별로 가득한 다른 은하라는 증거를 찾았다. 그렇게 해서 우주가 우리가 생각하고 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거기에 허블은 또 하나의 발견을 하는데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는 허블이 망원경을 만든 사람인 줄 알았다. 이 그림책을 통해서 허블이 꿈을 키우고, 연구했던 우주를 바라본다.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우주로 직접 나가는 꿈을 꾼다. 밤하늘을 바라보며 우주를 향해 시야를 넓혔던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해졌다.

아, 이제 우리집 아이의 꿈에 대해서도 조금 진지하게 고민해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