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 - 대청 외교와 『열하일기』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 서가명강 시리즈 16
구범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강 시리즈로 기획된 도서가 한 권씩 나올 때마다 이번에는 무슨 내용을 담고 있을까 궁금해진다. 인문학 도서를 좀 읽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고민할 때 서가명강 시리즈가 꽤 괜찮은 것 같다. 고전을 선택할 때 '세계문학시리즈'를 찾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의식적으로 역사, 과학, 인문 도서를 찾아서 읽는 편이지만 읽는 것만큼 이해도 잘 하고 있는 편은 아니다. 그래서 이왕이면 잘 풀어서 설명해주는 책이 좋다. 『열하일기』는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을만큼 유명한 책이다. 고등학생 때 『열하일기』의 내용을 읽었던 기억이 있는데 정확하게 내용을 기억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래도 한 번 자세히 읽어보겠다고 몇 권의 책을 구입하기도 했는데, 조금 읽다가 책장에 고이 모셔져 있다. 마침 이 책 『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을 읽고 나니 읽다 만 『열하일기』를 다시 읽어야겠다.



이 책의 제목을 잘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저자는 '1780년'과 '열하'를 하나의 제목 안에 넣음으로써 이야기의 시공간을 나타내고자 했다고 한다. 조선의 사신들이 중국을 여행하고 남긴 기록을 보통 '연행록'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연'은 '베이징'을 의미하므로 베이징을 다녀온 여행기라고 볼 수 있다. 연행록 중에서도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아주 유명한데, 건륭제의 '칠순잔치'에 관한 내용이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소중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여기서 더 나아가 『열하일기』 속의 '열하 이야기'가 사실을 그대로 옮겨 적은 글이 아니라는 것과, 1780년을 분수령으로 조선과 청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조선 후기 사신의 외교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준다.

책에서 우선 나는 몇 가지 단어를 정리할 수 있었다. "조선의 국왕은 1년에 몇 번씩이나 명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였는데, 이를 보통 조공이라고 부른다. 명의 황제는 비록 형식적이고 사후적인 행위이긴 했지만 조선의 국왕을 공식적으로 임명하였는데, 이를 책봉이라고 한다."(P.21)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조선과 청은 군신관계를 받아들이게 된다. "청나라가 국가 차원에서 기념한 3대 명절, 즉 성절, 정단, 동지에 조선에서 파견한 사신은 절사로 통칭되었다. 이 세 가지 절사 외에 경조사나 기타 중요한 외교 사안이 발생했을 때 보내는 사신은 별사라고 한다. 절사든 별사든 조선의 사신은 국왕 명의로 작성하 표문을 지참하였는데, 이런 표문에는 응당 선물, 즉 예물이 뒤따라야 했다. 조공 사절이 가져가는 예물을 방물이라고 불렀다."(P.66)

건륭제는 10년에 한 번씩 만수절을 베이징에서 보냈다고 한다. 그래서 칠순 만수절 또한 베이징에서 기념하리라 예상하였다. 황제의 칠순은 청의 건국 이래 처음 맞이하는 경사였으며, 중국 역사 전체를 보아도 통일 이후 그 시점까지 고희의 경지에 이른 황제는 여섯 명 정도였다. 그런데 건륭제는 자신의 칠순 생일을 여느 생일과 다름 없이 보내고 싶다면서 고희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그러나 사실은 말만 그렇게 했을 뿐 사실은 자신의 생일에 대단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건륭제가 칠순을 맞을 당시 조선의 왕은 정조였다. 정조는 건륭의 칠순을 그냥 넘기지 않고 '특별한 축하'를 하였다. 이전까지는 없던 일이었기에 '축하'를 위한 '진하표문'을 가져는 가되 분위기를 봐가면서 제출을 하기로 하였다. 절사로 간 조선의 사신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따라 결정을 바꾸거나 일정을 조정하는 등의 외교활동을 하였다. 보통 조공을 위해 사신들이 중국을 가거나 하면 조공으로 바쳐야 하는 방물의 전달만을 생각하기 쉽다. 우리에게 사신들이 실제로 한 일들이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데, 이 책을 통해 일부지만 사신들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책의 3부에서는 절사로 갔던 박명원의 '봉불지사'소동을 다루고 있다. 이 내용은 학생 때 배우기도 했기에 기억에 있다. 다만 박지원이 『열하일기』에 이 사건을 해명하기 위한 여러 장치를 해놓았다는 것은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열하일기』의 최대 특징은 역시 조선인이 직접 겪은 '열하 이야기'를 최초로, 그것도 빼어난 글솜씨로 생생하게 그려냈다는 점일 것이다. 연행록 작품들은 대개 베이징에 다녀온 이야기였지만, 『열하일기』에는 제목이 표방한 대로 다른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열하 이야기가 있는 것이다. 『열하일기』 전체 분량의 30~40퍼센트가 직접 또는 간접의 열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박지원은 자신을 포함한 조선 사신 일행이 겪은 열하 이야기를 「태학유관록」, 「찰십륜포」, 「반선시말」, 「황교문답」, 「행재잡록」등에 집중적으로 펼쳐놓았다."(P.153)

이 중에서 「찰십륜포」에 묘사된 건륭과 판첸의 만남은 청과 티베트의 관계를 둘러싼 논쟁에 특별한 가치를 인정 받아 많이 인용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열하일기』는 박명원이 이끌었던 1780년 진하 특사의 활동에서 나온 산물이므로 당연히 박명원 일행의 사행활동을 이해해야 한다.

4부로 가면 박지원이 『열하일기』를 통해 박명원의 '봉물지사'를 어떻게 변호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진진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박지원은 중국 예부의 거짓을 밝혀 적음으로써 박명원의 입장을 변호하기도 하고, 사건의 발생 시점을 교묘하게 섞어놓음으로써 책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논리적으로 반박하지 못하게 만든다. 대놓고 주장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독자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니 그의 책이 건륭과 판첸의 만남이라는 논쟁거리 외에도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지 않은가.

5부에서는 조선과 청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표면에 드러난 결과와는 달리 그 이면에 수없이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지고 협상도 하고 정세도 바꾸는 것이 외교이다. 1780년의 열하는 조선과 청의 관계를 변화시키기 위해 중요한 분수령이 된 곳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열하일기』는 문학작품으로서도 훌륭하지만 조선의 외교사를 보여주기도 하고, 위기에 처한 박명원을 변호하는 글로서도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었다. 다시 『열하일기』를 읽는다면 1780년 그 시기의 한국사를 떠올리며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이 도서는 21세기북스의 협찬을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