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매혹적인 고전이라면 -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고전 읽기의 즐거움 서가명강 시리즈 15
홍진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독일의 고전 명작을 재미있게 읽는 방법과 즐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던 홍진호 교수가 그 답을 제시하기 위해 썼다.

첫 번째는 작품이 쓰인 시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상세하게 소개함으로써 작품에서 얘기되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통적인 문학작품을 올바르게 감상하고 즐기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p.12~13)

어떤 해석이 작가가 의도한 것이었는지, 혹은 더 타당한 것인지는 여기에서 논할 바가 아니지만, 분명한 사실은 문학 작품은 그것이 시이든 소설이든 희곡이든 겉으로 드러나는 이야기 뒤에 다른 이야기가 숨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줄거리가 전부인 소설도 많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문학작품들, 특히 '고전'이라 일컬어지는 작품들은 줄거리 이면에 무언가 다른 것들을 숨기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학작품들을 올바로 이해하고 즐기는 것은 이 숨은 이야기를 찾아내는 것, 즉 우리가 '해석'이라 부르는 세심한 독서와 성찰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p.32)

우리는 대중문화라고 하는 것들을 접할 때 머리 속에서 이미 '해석'을 하고 있다. 미디어는 지금 우리의 현재를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그러니 굳이 해석하지 않아도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즉각적이고 순간적인 반응이 따라오는 시대이다. 그러니,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한 번 더 생각해야 하고, 생각해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고전문학이 어렵거나 지루할 수 밖에 없다. 거기에 고전이라 하면 서양의 고전이 대부분이다보니 한국 사람에게는 더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저자는 문학작품을 해석하는 것은 줄거리 이면에 무언가 다른 이야기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으루부터 시작한다고 하였다.

줄거리 이면에 숨어있는 이야기를 찾기 위해서는 먼저 세심한 독서가 필요하다. 대강의 줄거리만 알아서는 그 이면의 내용을 이해할 수 없다. 해석을 위해서는 작가나 작품에 관련된 정보를 알아야 한다. 작가가 살던 시대나 개인적인 삶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다. 작가가 살던 지역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아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어떤 고전은 이런 정보가 있으면 이해할 수 있는가하면, 어떤 고전은 이런 정보가 주어져도 이해할 수 없을 때도 있다.

그렇지만, 선행 정보가 있어야만 이해할 수 있는 작품만 있다면, 그렇게 많은 서양 고전들을 우리가 좋아할 수 있었을까? 인간의 보편적 감정을 다루고 있거나 지금도 여전히 진행 중이거나 해결되지 못한 사회적 상황이나 현실에 공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독일의 소설을 소개한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괴테의 『젊은 베르터의 고통』, 폰 호프만스탈의 『672번째 밤의 동화』,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과 『시골의사』 가 그것이다.

헤세가 걸어온 길을 살펴보면, 방황, 저항, 방랑과 같은 키워드를 만날 수 있다. 1919년에 헤세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출판한 『데미안』은 독일문학의 오랜 전통인 '발전소설'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전통적인 인간관이나 가치체계는 파괴되었지만 새로운 인간관이나 세계관이 자리를 잡지 못한 시대였다. 헤세는 소설 곳곳에서 내면에 대해 언급한다. 철학이나 종교, 윤리나 관습 등과 같은 외부의 가르침이나 명령이 아닌 내면의 목소리를 따를 때 올바른 삶을 이어갈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헤세의 삶을 이해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데미안』을 읽고 감동을 받았다는 사람들이 꼭 그런 이유를 알아서였다고 할 수 있을까?

나는 『데미안』을 중학생 때 처음 읽었고, 그때는 특별한 감동을 느끼지 못했는데 성인이 되어서야 내용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지금 청소년들이 이 책을 읽고 감동을 받는 것은 작가의 상황이나 그 이면의 내용을 알아서가 아니다. 이 책이 그렇게 감동을 받거나 공감하는 사람들이 없었다면 고전으로서 자리잡지 못했을 것이다. 괴테의 『젊은 베르터의 고통』도 마찬가지다.

괴테는 자신의 이야기와 예루살렘의 이야기를 엮어 『젊은 베르터의 고통』을 완성하였다. 괴테도 이 책을 출간할 당시 익명으로 출간을 했다고 한다. 이 소설이 꾸며낸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로 벌어진 일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독자의 감동을 이끌어내려는 전략이라고 한다.

이 소설이 출간된 후 베르터를 따라 자살한 남성들이 최소 12명이라고 한다. 오늘날 유명인의 자살을 모방하여 자살을 시도하는 현상을 '베르테르효과'라고 하는 이유다. 그래서 괴테는 두 편의 시를 삽입하여 자살하지 말라고 이야기한다.

모든 젊은이들은 그렇게 사랑하기를 갈망하고

모든 소녀들은 그렇게 사랑받기를 원한다.

, 욕망 중 가장 성스러운 것.

그런데 쓰디쓴 고통이 솟구쳐 나오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인걸까?

사랑스러운 영혼이여, 너는 눈물을 흘리고, 그를 사랑한다.

너는 그의 기억을 굴욕감으로부터 구한다.

보라, 그의 넋이 그의 동굴에서 네게 손짓하는구나.

남자가 되어라, 그리고 나를 따르지 말라고.

p.107~108

저자는 『젊은 베르터의 고통』이 18세기와는 완전히 다른 오늘날에도 사랑을 받는 이유는 바로 재미있는 줄거리때문이라고 말한다. 고전문학이 재미없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지만 모든 작품이 그러한 것은 아니다. 당대의 문화적 요구에 의해 쓰여진 책이니 우리가 그 시대를 알지 못하면 당연히 지루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아무리 깊이 있고 좋은 내용을 담은 책이라도 재미있지 않다면 오랜 세월동안 많은 사람들이 읽어온 고전이 되기는 어렵다. 드러난 줄거리 이면의 내용을 조금만 알아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고전이 많다. 우리가 이 책을 통해 바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을 읽기 전에 해당 작품을 먼저 읽어보라고 하였다. 나는 이 책에서 소개한 소설 중에서 폰 호프만스탈의 『672번째 밤의 동화』를 읽어보지 못했는데, 그래서일까.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 책을 덮은 후 『672번째 밤의 동화』를 찾아서 읽을 확률은.... 낮다. 어쨌든 이 부분을 어렵게 넘기자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과 『시골의사』 가 나온다. 역시 읽어본 책, 그리고 아는 내용이 나오니 더 술술 이해가 된다.

카프카의 작품은 해석을 하기가 어려운 작품이라고 한다. 그나마 『변신』은 아주 쉬운 편? 굳이 카프카가 살던 시기의 사회적 현상을 알지 못해도 지금의 우리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정도다. 물론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노동착취와 인간소외로만 이 책을 읽었을 경우에 그러하다. 『시골의사』 는 그 내용만으로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소설이다. 저자는 『시골의사』를 정신분석학의 측면에서 해석한 내용을 소개한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소설이다.

이 책에서 다룬 작가와 작품은 우리가 표면적으로만 이해했던 작품을 한번 더 생각하고 이해하게 만든다. 이렇게 사회문화학적으로, 혹은 정신분석학적으로 또는 작가의 삶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을 더욱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이 도서는 21세기북스의 협찬을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