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온다 리쿠의 책은 제목들이 모두 멋있다. 며칠 전에 읽었던 [황혼녘 백합의 뼈]도 그러하고 이 책 [삼월은 붉은 구렁을]도 그러하다. 그리고 아직 읽지는 않았지만, 그의 다른 작품들의 제목도 그러하다. 그도 그럴 것이, 온다 리쿠는 제목을 먼저 정해놓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스타일의 작가인 듯 하다. 멋진 제목들만큼이나 내용도 멋지길 바라면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솔직히 온다 리쿠라는 작가를 알게 된 것도 이 책 [삼월~]에 대한 리뷰들을 보고나서이다. 그전에는 이런 작가가 있는지도 몰랐는데, [삼월~]을 읽은 이들의 열광은 온다 리쿠라는 작가에 관심을 가지게 하기 딱 알맞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보다 [황혼녘 백합의 뼈]를 먼저 읽었는데, 그 책의 주인공 리세가 바로 이 책의 4부에 등장한다. 4부를 확대 재생산(?) 낸 것이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이고, 중학생이던 리세가 고등학생이 된 후가 [환혼녘~]이라 하니 늦었지만, [삼월~]에서 리세를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쨌거나, [삼월~]에서는 4가지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4가지 이야기가 각각 다른 이야기면서 마치 하나인 듯한 생각이 들게 한다. 특히 나는 이 중에서 제1장 기다리는 사람들 편이 마음에 들었고 4장 회전목마는 온다 리쿠의 작품관이랄까? 그런 걸 알 수 있었던 것 같고, 내가 궁금해했던 리세가 등장하여 이 책 중에서 그래도 가장 미스터리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었다. 사실, 1장의 결말 부분이 조금 허무하긴 했지만, 그건 4가지 이야기 중 하나의 유형일 뿐이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듯하다.
온다 리쿠는, 아니 [삼월~]의 작가는 이야기가 이야기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삼월~]이라는 책을 둘러싼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가지고 책을 써내려가고 있는 것이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결말이 지나치게 설명적이라는 점인데, 각 장이 하나의 중단편소설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야기를 다 끝내지 못한 게 아닐까. 그래서 결국은 [삼월~]의 이야기는 다시 새로운 장편을 만들어냈으니 말이다. 각 장의 인물과 사건들은 구체적인 이야깃거리를 내포하고 있어서 그의 다른 작품을 읽고 싶게 만드는 힘이 있는듯하다.
온다 리쿠의 작품이, 미스터리라고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긴장감이나 긴박감은 떨어져 보인다. 대신, 이야기가 이야기를 만들어내듯이 수많은 이야깃거리의 변형을 만들어낼 수 있는 구전 같은 느낌은 독자로 하여금 끼어들 수 있는 여지를 남겨준다. 그러니까, 온다 리쿠가 기가 막히게 이를 맞추어 놓은 이야기를 독자가 마음대로 해체해서 다른 이야기를 만든다해도 한들 작가는 오히려 환영할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