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우유와 소보로빵 마음이 자라는 나무 8
카롤린 필립스 지음, 전은경 옮김, 허구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샘은, 아프리카의 에리트레아에서 독일로 이주해 온 외국인 노동자가 독일에서 낳은 아이이다. 그래서, 샘의 겉모습은 에리트레아인이지만, 샘의 정체성은 에리트레아인이 아니라 독일인이다. 그는 에리트레아에 대해서 부모님으로부터 이야기를 듣기는 했지만, 그저 낯선 이국땅처럼 느껴질 뿐이다. 게다가, 그곳은 부모님의 고향일 뿐 샘에게는 아무 의미를 지니지 못하는 곳이다.

 

에리트레아에서 일어난 전쟁으로 인해 샘의 부모님은 난민수용소에 있다가 만나게 되었고, 결국은 고향을 등진채 -고향이라고는 하지만, 모든 것이 파괴된 그곳은 고향의 어떤 이미지도 불러올 수 없는 황폐한 곳이 되어버렸다- 독일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독일에서는 마침 노동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던 시기여서 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을 받아들였고 그것은 샘의 부모에게도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 샘의 아빠 친구 중에는 꽤 성공하여 고향인 에리트레아에 돌아가 재건사업에 힘을 보태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샘의 부모는 돌아가지 않았다. 그것은, 고향에 돌아가본들 남아 있는 것도 없을 뿐만 아니라, 샘의 미래를 위해서도 좋은 환경과, 교육의 기회를 포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의 결정이 과연 옳은 결정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바로 이 책의 사건-학교에서 놀림을 당하거나 사회적인 위협을 받는-들은 그들 부모의 결정에 확신을 주지 못한다. 게다가, 샘의 반 친구 중에서도 폴란드나 포르쿠갈에서 온 학생들도 같은 외국인 노동자의 아들들이지만, 샘은 그의 외모때문에 더 눈에 띄게 되고 그로 인해 더많은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30년전 독일의 노동력 시장에는, 우리나라의 노동자들도 많이 유입된 걸로 기억한다. 그들이 이제는 한국으로 돌아와 새 삶의 터전을 가꾸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현지에서 계속 생활하고 있다. 따라서 샘의 일은, 남의 일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일이기도 한 것이다. 이것은 피해자의 입장에서 그렇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그 반대의 입장에서 설 수도 있다. 우리 기업에도 수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유입되었고, 또 농촌에도 많은 외국여성들이 결혼을 하여 정착했다. 독일의 어떤 교실에는 40% 이상이 외국인이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학교에도 이제 곧 외국인 자녀, 혹은 한쪽이 외국인인 부모의 자녀들이 입학을 하게 될 것이다.

 

물론, 이 책 속의 외국인들에 대한 반감은, 노동력이 넘쳐 나고 자국민들의 일자리가 부족한 상태에도 불구하고 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일자리와 집을 차지하고 있다는 피해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우리나라도 곧 그렇게 되지 말라는 법은 없을 것이다.

 

내가,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 현장에 나갔을 때 그들-대부분이 동남아시아의 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기피하는 현장에서 싼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었다. 사실, 힘들고 어려운 일인데도 임금이 지나치게 싸게 책정되어 있고, 그렇기때문에 한국인들이 그런 일을 기피하는 것이지만, 그들을 대체할 인력들은 어떻게든 공급이 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은, 기업이 임금을 현실화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한국의 노동자들이 눈을 낮추는 수밖에 없지만, 둘다 힘든 일이다. 그러니, 곧, 조만간, 외국인 노동자들이 그 자리를 채우고, 한국인 노동자들의 실업은 점점더 늘어날 것은 뻔한 이치가 아닌가.

 

어쨌거나, 그렇게해서 만들어진 어른들의 이기적인 반발심은 아이들에게까지 아무런 여과장치없이 그대로 전달되어 차별과 따돌림이라는 현상을 만들어내게 된다. 샘은, 독일에서 태어났고 에리트레아보다는 독일이 더 익숙한 소년이다. 그래서 샘은 왜 자기가 그렇게 사회의 위협을 받아야하는지 알 수 없다. 그리고 친구들의 놀림도 자신의 피부색이 다르기때문일거라는 생각 외에는 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어른들의 이기적인 발상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외국인노동자, 특히 그들보다 못사는 나라에서 온 사람들에 대해 그들이 지어내는 이야기들은 아무 것도 모르는 아이들조차 그런 허위정보를 믿게 만든다.

 

보리스가 샘의 집에 가서, 그의 집과 별반 다를 바 없는 샘의 집을 보고 부모님들이, 어른들이 한 말이 틀렸음을 알게 되는 장면이 그런 사실을 잘 알게 해준다. 보리스는 자신이 그동안 했던 생각이 틀렸음을 알게 되고, 샘이 사고-습격-로 학교를 결석하면서 그동안 샘이 자신을 더 분발하게 하는 좋은 라이벌이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화해의 손길을 내밀게 된다. 바로 함께 피아노를 연주하는 것. 아무도 그들이 함께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으리라 생각지 못했지만 그들은 샘의 왼손과 보리스의 오른손으로 훌륭하게 피아노를 연주해낸다.

 

어른들의 이기심에 아이들의 동심이 무너지고 있다. 지금은 우리가 그들을 마치 먹여살리는 듯-사회보장제도의 이득을 보는 건 그들이라는 생각- 보이지만, 결국 우리 아이들이 함께 생활하고 살아가야 할 아이들이 바로 그들이라는 생각을 해보자.어른들의 이기심으로 인해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결국은 모든 이들이 함께 살 수밖에 없는 흐름을 거스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말이다.

 

이 책은 청소년이 읽어도 좋을 것 같고, 어른들도 함께 고민해야 할 주제가 담겨잇는듯하다. 요즘, 텔레비전에서는 [미녀들의 수다]라는 프로그램이 제법 인기인듯하다. 그녀들의 이야기가 외국인들의 생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새겨 들어야 할 이야기도 제법 나온다. 우리는 이제 한국인은 단일민족이라거나, 타민족과 차별을 두거나 하는 옛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한다. 그런 생각에서 벗어나는 것부터가 바로 세계화로 가는 올바른 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