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편의 영화를 본듯한 느낌이 든다. 아주 잘 짜여진 극본과 적절한 클라이막스, 끝까지 살아남는(여기서는 눈을 뜨고 있는) 주인공까지..어디 하나 나무랄 데 없는 구성이다. 그래서일까, 책을 잡은 그 순간부터 마지막 책장을 덮을 때까지 책을 손에서 놓기가 어려웠다. 어떻게 되어가는지 궁금증은 자꾸 증폭되었고, 사람들의 행동의 변화와 더불어 생각이 변화해가는 모습을 놓치기가 아까웠던 것이다.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자들의 도시]는 언젠가 읽은 기억이 있다. 아마도 이번에 읽은 건 두번째이지 싶다. 그런데, 그전에는 내가 이 책을 통해 별다른 느낌을 받지 못했었는지 다시 책을 잡고 읽으면서도 예전에 읽었던 책이라는 사실을 잊고 있었다. 게다가 내 책장에 이 책이 없으니(아마도 그땐 빌려읽었던듯) 더더욱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나의 생각과, 나의 환경이 달라지면서 의미가 없던 책들도 의미를 가지게 되기도 하는 것 같다. 이 책이 그런 책 중의 하나였다.

 

어쨌거나, 이 책에는 이름을 가진 주인공이 나오지 않는다. 작품 속 '작가'의 말처럼 '내 목소리가 나'인 것이지 이름은 '나'가 아니다. 눈먼자들에게는 이름보다는 '소리'가 그들을 대표한다. 누가 화자인지, 청자인지 구분하지 않은 데다가, 가끔은 시점이 바뀌기도 하는 이 책을 읽다보면, 내가 그들이 되어 상황을 지켜보고 있음을 느낀다. 이것이 작가의 의도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우리]라는 단어는 책을 읽고 있는 [나]도 그 장소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처음 눈먼 남자는 자동차에 앉아서 신호등 색깔이 바뀌는 것을 기다리다가 눈이 멀었다. 그다음부터 줄줄이 연쇄적으로 세상 사람들이 눈이 멀기 시작한다. 마치 무서운 전염병처럼. 보통 이 책 속의 사람들은 갑자기 눈이 멀거나, 눈이 멀까 두려워하다가 눈이 멀었다. 단 한 사람, 의사의 아내만이 끝까지 눈뜬자로 남아, 보고 싶지 않은 장면들까지도 다 보게 된다. 의사의 아내는, 의사가 구급차에 실려가기 전에 뭔가를 결심한 사람처럼 준비를 한다. 이 [준비]는 집을 청소하고 정리하거나, 남편의 짐과 더불어 자신의 짐을 챙기거나하는 것과 더불어 마음의 준비, 그러니까 남편과 함께 갈 마음, 남편과 끝까지 함께 하려는 마음 -의지- 의 준비까지 아우른 것이다. 그런 준비를 한 아내의 눈은 다른 사람들이 다시 눈을 뜨는 그 순간까지도 멀지 않는다. 

 

처음 수용소에 격리된 사람들은, 적어도 희망이-눈을 뜰 수 있다는- 있었고, 또, 눈을 뜨고 있고 모든 상황을 제어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여자, 의사의 아내가 있기 때문에 다른 병동이나 병실 사람들과는 달리 생활할 수 있었다. 어쩌면 그녀가 눈을 뜨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그걸 발설하지 않으면서 따라준 일부 병실 사람들의 지지(?)가 있어서이기도 했지만. 어쨌든, 세상 사람들이 눈이 멀지도 모를 공포와 두려움 속에서 이미 눈먼자들을 격리수용하면서부터 그들-수용소 밖의 사람들-의 이기심은 발동되기 시작했다. 그들이, 눈먼자들을 격리 수용하고, 자신들마저 눈이 멀까 두려워하며 인간적인 도움의 손길을 거두어버리지 않았다면 상황은 어땠을까? 의사의 아내처럼 언젠가는 나도 눈이 멀겠지만, 먼저 눈먼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눈을 의미있게 사용했더라면 과연 그 도시 전체가 눈먼 사람들로 가득찼을까? 

 

인간의 이기심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 혹은, 인간의 이기심이 세상을 어떻게 파괴할 수 있는지를 아주 효과적으로 보여준 책이 아닐 수 없다.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보려하고, 자신과 관계 없다고 생각되는 것에는 아예 눈을 감아버리는 인간의 이기심때문에 언젠가는 이 세상도 눈-이 아니라 그 어떤 것이든-먼자들로 가득찰 날이 올지도 모른다. 이미 세상은 기아로 허덕이는 아이들이 있는 세계와 잉여농산물을 버리거나 비만으로 가득찬 세계로 나누어졌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전쟁-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을 일으키는 나라와 전쟁의 피해자가 되는 나라로 나누어져있다. 모두들, 남을 배려하지 않는다. 당신에게도 바로!! 그 두려움이 곧 닥칠지 모른다. 준비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