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강의 - 혼돈의 시대에 장자를 읽다
전호근 지음 / 동녘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망의 <장자강의> 오늘로 모두 마무리!

 

<장자강의>는 장자의 <내편>을 모두 읽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책이다. 그 중 4편까지는 지난번에 정리를 했고,

 

  제1편 소요유 http://blog.aladin.co.kr/auroramom/8008232

  제2편 제물론 http://blog.aladin.co.kr/auroramom/8013095

  제3편 양생주

  제4편 인간세 http://blog.aladin.co.kr/auroramom/8037948

 

오늘은 덕충부, 대종사, 응제왕 편을 정리한다.

 

장자의 다섯째편 덕충부(德充符)는 어떤 사람의 내면에 덕이 충만하다는 부호 라는 뜻이다. 도와 덕을 이야기할때 도는 밖에 있는 것이고 덕은 그 도가 어떤 사람의 내면에 체득된 것을 말한다. 도를 체득해서 내면화한 사람은 내면의 덕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춘다는 것이 장자의 생각이다.

 

장자는 덕이 충만한 사람을 어떤 모습으로 그려냈을까? 이 덕충부편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모두 형벌을 받아 다리가 잘렸거나 절름발이이거나  곱사등이, 언청이, 항아리만큼 커다란 혹을 가진 사람을이다. 우리가 보기에 비정상이거나 장애를 가졌다고 하는 사람들. 장자는 그런 우리의 시선을 뒤집는다. 과연 누가 누구더러 비정상이라 하는가!

장자는 자신의 글 속에서 세속 인간들의 육체적 조건에 대한 집착을 깨고 참다운 덕은 내면에 있음을 밝히기 위해 세속의 사람들이 가장 추하다고 생각하는 인물들에게 도를 말하게 한다. 덕이 충만해있으면 외형의 결핍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이 덕충부 편의 핵심이다.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오히려 외형의 결핍 때문에 내면의 충만한 덕을 보지 못한다.

장자를 읽으며 재밌는 부분은 장자에 나오는 사람들의 이름인데 대부분 실존인물이 아니라 장자가 지어낸 사람들로 이름 자체에서 엄청난 풍자를 내포한다. 나중에 장자를 읽어보시는 분들은 꼭 이름의 의미를 되새기며 읽어보시길!

 

 

제6편 대종사 (大宗師)편에서 대종이라는 말은 원래 제사와 관련된 용어이나 장자에서는 도를 비유하는 말로 볼 수 있다. 즉 대종사는 모든 가치의 뿌리인 대종, 즉 도를 지닌 사람이다. 삶과 죽음, 인의와 예악을 모두 잊고 가난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대종사다.

 

제7편 응제왕 (應帝王)은 제왕의 물음에 응답한다는 뜻인데, 당나라의 주석가 최선이나 송나라의 주석가들 모두 응제왕을 '응당 제왕이 되어야 할 사람'이라고 풀이한다고 한다. 저자는 앞의 견해가 더 무리 없는 해석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이것 역시 실제 있었던 일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우언이다.

어떻게 천하를 다스릴 것인가? 다스리려고 하지 않으면 된다. 사물을 세상의 질서를 기준으로 차별적으로 대하지 않으면 천하가 저절로 다스려질 것이라는 것이다.

 

#지인의 마음 씀씀이는 거울과 같은지라 보내지도 아니하고 맞이하지도 아니하며, 비추기만 하고 간직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만물을 감당하면서도 다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498쪽)

至人之用心은 若鏡이라 不將不迎하며 應而不藏하나니 故로 能勝物而不傷하나니라.

 

대상을 있는 그대로 비춰주기만 할 뿐 자기 기준을 내세워 상대를 깎아 내리거나 왜곡하지 않는 거울같은 지인의 마음씀씀이를 배워야겠다.

 

그리고 마지막 결말인 혼돈의 죽음 이야기는 너무나 큰 울림을 주었다. 장자의 우언중 붕새와 포정해우, 호접몽에 버금갈만큼 유명한 혼돈 설화이다. 이야기는 아주 간단하다.

 

#남해의 임금은 숙이고 북해의 임금은 홀이고 중앙의 임금은 혼돈이다. 숙과 홀이 때로 혼돈의 땅에서 함께 만났는데, 혼돈이 그들을 매우 잘 대접하자, 숙과 홀이 혼돈의 은혜에 보답하려고 상의하여 이렇게 말했다.

"사람들은 모두 일곱 개의 구멍이 있어 보고 듣고 먹고 숨을 쉬는데, 이 혼돈만은 없으니, 시험삼아 구멍을 뚫어주자.' 하고는 하루에 구멍 한 개 씩을 뚫었더니 칠 일 만에 혼돈이 죽었다. (502쪽)

 

이 대목을 읽으면서 저자의 해설을 보는데 마치 추리소설의 단서를 하나씩 풀어가는 재미가 있었다. 자세한 설명은 궁금하시라고 패쓰!! ㅋㅋ

혼돈의 비극은 우리가 다른 삶을 사는 존재를 이해한다는 게 쉽지 않다는 걸 말해준다. 이해하려는 자체가 상대를 지배하려는 폭력이 될 수 있다. 혼돈이 죽는 비극은 근대 세계가 다른 세계를 만났을 때 빈번하게 일어났다.

장자는 다양한 삶을 이야기 하면서 그런 삶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고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그리고 장자 내편의 결말에 해당하는 이 혼돈설화에서 장자는 우리가 타자를 대할 때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타자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타자를 배려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숙과 홀처럼 혼돈에게 구멍을 뚫어주게되고 혼돈이라는 정체성을 상실한 혼돈은 죽게 되는 것이다.

 

장자 내편은 붕새의 비상으로 시작해서 혼돈의 죽음으로 끝난다. 붕새가 절대 자유를 희구하는 장자의 상징이었다면 혼돈의 죽음은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래서 나는 마지막 이 대목을 읽으면서 마치 반전 영화의 슬픈 결말을 보듯 충격을 받았다.

 

 

이로써 장자 내편의 이야기는 모두 마무리되었다. 저자도 계속해서 밝히지만 장자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읽혔고 같은 시대라도 사람에 따라 전혀 다른 관점으로도 읽혔다. 그러니 이것도 수많은 장자 읽기중 하나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장자의 깊은 뜻을 누가 알겠는가. 다만 내게 와 닿는 방식으로 그의 생각을 짐작해 볼 뿐이다. 이 책을 마무리하며 또 다른 장자를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집에 있는 강신주의 책부터 읽어볼 생각이다. 그리고 저자의 근간 <맹자 강의>도 기다리겠다.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북 2015-12-20 19: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오히려 외형의 결핍 때문에 내면의 충만한 덕을 보지 못한다` 라는 말이 마음에 콕 박히네요. 사람이란 참 다양한 면이 있는데 단 하나의 결핍 때문에 눈을 가리고 마음을 닫아버리고 한 사람을 낙인 찍어버리는 그런 습관들이 생각났어요 또 ` 거울과 같은 씀씀이`라는 말도 가슴에 콕 박히는 말이었고요.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고 바라봐야 하는데 말이죠. 오늘 장자 강의는 반성되는 이야기가 참 많았습니다^~^

살리미 2015-12-20 20:02   좋아요 1 | URL
네. 장자를 읽으며 매일매일 반성하게 되더라고요. 많은 사람들이 도를 묻고 어떻게 도에 이를 수 있는지 늘 노력하는데 사실상 도는 묻는다고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노력한다고 얻어지는 것도 아니란것. 다만 마음을 비우고 세상의 잣대로 사물을 대하지 않고 세속의 가치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 때 도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는것은 현대에도 많은 깨달음을 준다고 생각해요. 거울이 자기가 비추는 대상을 평가하지 않는 것럼 타인을 대하면 스스로도 다칠 일이 없다는것도 제가 매일 실천해야 할 일이고요^^

달팽이개미 2015-12-20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혼돈설화가 마음에 와닿아요. 어렵게만 느껴지고 다가가기 어려운 이야기들을 이렇게 리뷰를 읽으며 간접적으로 경험하니, 좋았어요. 네 편 모두 잘 읽었습니다. 맹자 리뷰도 기다릴게요. ^^

살리미 2015-12-20 21:00   좋아요 1 | URL
저도 장자를 읽기전에도 몇가지 이야기들을 알고는 있었는데, 혼돈이야기는 처음 읽었어요. 그만큼 더 충격이었고 저자의 해설이 너무나 맘에 들었답니다. 달팽이개미님이 좋아하시니 조금만 더 말해보자면요, 숙과 홀은 시간의 신이자 유위, 작위, 인간의 문명을 상징한대요. 반면 혼돈은 도, 무위, 자연의 상징이죠. 혼돈은 장자에서 말하는 도의 상태, 즉 시비가 없고 지각이 없는 상태에요. 숙과 홀은 자기들 생각으로는 혼돈이 지각이 없어 답답할 거라 여겨 도와줍니다. 구멍을 뚫어주는거죠. 구멍이 뚫린 혼돈은 더이상 예전의 혼돈이 아니겠죠. 이렇게 좋은 의미의 개입도 장자는 경계한거예요.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혼돈이 중앙에 산다는 것에도 굉장한 의미가 함축되어 있어요. 그 설명도 재미있었는데 너무 길어서 아쉽게도 생략합니다^^
사실 저도 리뷰를 쓸 때 좀 더 쉽게 쓰고 싶었는데 자세한 설명들을 다 쓰자니 너무 길고 생략하여 요점만 적자니 너무 어렵지 않나 싶어서 고민을 많이 했어요. 달팽이개미님께서 좋다고 해주시니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2015-12-20 2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20 2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20 22: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20 2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20 2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5-12-21 0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명론과 실재론의 싸움을 떠올리게 됩니다. 우리가 이름을 지었기에 그렇게 보게 되는 것, 그것이 실재하기에 그것의 반영으로 우리가 보게 된다는 것...언어 철학, 구조주의가 전자를 이었다면, 현상학 등이 후자를 이었다고 생각하는데, 지금의 제 생각은 정신과 물질을 나눠서 생각한다면 필히 오류에 빠질 것이라는 정도...

살리미 2015-12-21 07:23   좋아요 1 | URL
네, 제가 철학을 아직도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해서 솜씨있게 답을 하지는 못하겠지만 무슨 의미인지는 알겠어요. 장자를 읽으면서 특히 제물론 편에서는 언어의 한계에 대해서 말합니다. 말에는 상대에게 전하고자 하는 뜻이 있는데 그 알맹이는 제쳐두고 겉모양만 꾸미므로 진실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고요. 장자는 시비를 넘어선 경지를 추구했어요. 시비라는 것은 껍데기에 집착하기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요. 시비를 넘어서게되면 양행, 즉 오늘날의 개념으로 하면 윈-윈이 되는데 상반되는 두 견해가 모두 인정받는다는 거죠. 이것이 어느 하나에 집착한 사상들을 비판한 장자의 철학이 아닐까 싶어요.

cyrus 2015-12-21 2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려운 책을 열심히 읽고, 부지런히 기록으로 남기셨군요. 정말 대단합니다. ^^

살리미 2015-12-22 15:25   좋아요 0 | URL
꼼꼼하게 읽어보려고 노력했는데... 글쎄요ㅎㅎ ... 좀 더 읽어봐야 고전의 깊이를 알 듯 하네요. 읽을수록 더 알고 싶어지는게 고전의 묘미인 듯 합니다^^

서니데이 2015-12-21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계속 장자 강의를 읽고 계시는군요. 오로라님, 오늘도 편안하고 좋은 밤 되세요.^^

살리미 2015-12-22 15:25   좋아요 1 | URL
댓글이 너무 늦어버렸네요^^ 좋은 하루 보내고 계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