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우스님의 <서민적 글쓰기>를 읽다가 알라딘 서재 다락방님이 <독서 공감, 사람을 읽다>란 책을 내신 걸 알게 되었다. 다락방님의 서평은 나도 참 좋아하는데 책으로 나온 줄은 몰랐기에 오늘 도서관에 간 김에 찾아보았다. 첫 페이지를 펼치는 순간부터 역시나 다락방님의 장점인 글에 몰입하게 하는 힘이 있었다. 부럽^^
`소설이면 충분하다`고 자신있게 말하는 용기에 감동받으며 어릴 적 기억이 하나 떠올랐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1정도 되었던 여름이었을 것이다. 당시 집안의 상황이 좀 안 좋을 때였는데 늦둥이 막내인 나는 둔해서 눈치를 못채고 있었다. 엄마는 그 즈음 대하소설 읽기에 빠져서 당시 유행하던 도서대여점에서 책을 빌려다가 하염없이 읽고 있었다. 아무래도 어려운 상황을 잊어버리기 위한 방편으로 독서를 택한 것 같은데 그냥 혼자 조용히 읽으면 좋을 것을 `요즘 책을 많이 읽고 있는데 참 좋아. 너희들도 책 좀 읽어봐~`하고 남들이 보면 눈꼴사납게 (?) 동네방네 얘기하고 다니셨다. 당시는 여름방학이었고 집에는 엄마랑 나만 거의 하루종일 시원한 평상에 누워서 책을 읽다 보면 하루가 금방 가곤 했다. (그 때의 그림은 지금도 기억에 생생한 아름다운 장면이다.) 그런데 가뜩이나 집안 상황도 좋지 않은데 당시 가장 노릇을 하던 열두살 터울의 언니가 보기엔 두 모녀가 시답잖은 신선놀음이나 하는 것으로 보였을 것이다. 책읽는 모습이 그다지 좋아보였을 리가 없다. 하루는 집안을 책임지고 이끌어야 할 엄마가 생활에 대한 고민은 안하고 책만 읽어대는 것에 (사실은 책 읽으니 너무 좋다고 자랑하는 것에 열받은 것 같아 보였는데) 화가 난 언니가 엄마에게 쏘아붙였다. (엄마 옆에서 책을 읽고 있던 나도 들으란 듯이)
˝그깟 시답잖은 소설쪼가리나 읽으면서 책 읽는다고 티 좀 내지 말라고. 현실을 걱정해야지 소설 읽는 다고 답이 나오냐고. 무슨 대단한 책도 아니고 겨우 소설이나 읽으면서.˝
그때부터였을 것이다. 왠지 소설을 읽을 때면 이상한 죄책감이 생긴다. 게다가 학교 다니는 동안 자연스레 소설을 읽을 시간은 부족했고, 대학에 다니면서는 술이나 마시고 싸돌아다니느라 전공서적도 겨우 읽었고, 결혼하고 아이 키우면서는 더더욱 책과 멀어져갔다. 남편도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지만 소설이랑은 거리가 멀다. ˝소설은 왜 읽는 거지??˝하고 늘 나에게 묻는 사람이니까.
소설을 읽을 때면 당당하지 못한 건 아줌마들과의 대화에서도 나타난다. 사실 우리 동네 아줌마들은 정말 정말 책을 안읽어서 내가 책 얘기를 거의 꺼내지 못하는데 어~쩌다 어~~쩌다 한번씩 책 얘기가 나오면 나는 몹시 흥분해서 말이 빨라지곤한다. 그럴때 누군가 결정적으로 ˝그래서 요즘은 뭐읽어??˝ 하고 물으면 인문학 책을 읽을때면 당당히 책 제목을 말하지만 소설을 읽고 있을 땐 ˝ 응~ 그냥 소설...˝하고 말끝을 흐리게 된다.
그런데 다락방님의 책을 읽으며 나는 비로소 소설에 대한 마음의 짐을 벗어놓는다. 이렇게 멋진 문장이 많은데, 이렇게 멋진 사람이 많은데, 그동안 왜 나는 소설을 읽는다고 당당하게 말하지 못했지? 소설만으로 충분하다고, 이 힘든 세상 소설이라도 읽지 않으면 어떻게 버티겠냐고 말해주어서 고맙다. 다락방님은 소설을 사랑하니까 이렇게 맛있게 꼼꼼히 읽는 것같다.
나는 한해의 독서 기록을 쭈욱 정리해 놓고 가끔 들여다보는 습관이 있는데 그것도 어쩌면 그런 장치라도 마련해두지 않으면 책을 골고루 읽지 못하고 소설책만 읽게 될 것 같아서 한 일같다. 자주 점검해서 인문 사회 과학분야의 책도 읽으려고... 나름 고른 독서를 위한 방편이라고 위장해 왔지만 그것도 어쩌면 소설을 읽는다는 것에 대한 열등감 같은 트라우마 때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왜 자신있게 나는 너를 사랑한다!! 하고 외치지 못한 거지?? 이 책을 읽다보면 항상 소설에게 미안해진다.
그동안 떳떳하지 못해 미안해 ㅠㅠ 실은 나도 너를 많이 사랑하는데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