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뉴스룸을 보다가 손석희가 이 시를 읽는데, 눈물이 많은 나는 또 울컥하였다.
시와 친하지도 않고, 더군다나 외국시인의 감성은 잘 이해하지 못하는 나여서 브레히트 시집은 읽어볼 생각도 하지 않았지만, 나는 브레히트 하면 생각나는 영화가 있다.
바로 영화 <타인의 삶>이다.
1984년 동독. 조지 오웰의 소설처럼 당시 동독에서는 비밀경찰과 감청요원들이 30만명이 넘을 정도로 거의 모든 사람들의 삶이 감시대상이었다. 영화는 그런 사회에서 예술가로 살아가는 작가 드라이만과 비밀경찰 비즐러의 이야기다.
비즐러가 드라이만의 삶을 감시하다가 결국 그의 자유롭고 인간다운 삶에 동화되어 버리는데, 그때 결정적 역할을 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브레히트의 시다. 드라이만의 집에 몰래 들어갔다가 슬쩍 가지고 나온 시집을 자기집 소파에 누워 읽어보는 장면과, 드라이만의 선생님이 목을 매 자살했다는 소식을 들은 후 슬픔에 찬 드라이만이 선생님이 선물했던 악보인 <아름다운 영혼의 소나타>를 연주할 때 그걸 도청하던 비즐러의 눈에서 눈물이 흘러내리는 걸 봤을때 이미 영화의 결말이 어느 정도 예상이 된다.
예술을 사랑한다면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사람을 사랑한다면 개인을 인정하지 않는 이념은 신봉할 수가 없다. 레닌도 그랬다지 않나. 베토벤의 `열정`을 계속 듣는다면 혁명을 완수하지 못할 것이라고. 드라이만도 말한다. ˝이 곡을 진심으로 듣고도 나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비즐러는 감시를 소홀히 하고 결정적으로 드라이만에게 도움을 준 사건으로 한직인 우체국으로 쫓겨나 평생 캄캄한 방에서 편지봉투 뜯는 일이나 하게 되는데, 그러는 사이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독일은 통일을 맞이한다. 그리고 정말 멋진 엔딩씬이 기억난다. 맑스 서점에서 자신을 위한 책을 한권 사는 비즐러!
오늘 아침 첫눈이 펑펑 내리는 걸 보면서 어젯밤 들은 시가 떠올랐고, 브레히트 덕분에 멋진 영화 한편이 떠올라서 행복했다^^
**********************************************
어느 책 읽는 노동자의 의문
- B. 브레히트 -
성문이 일곱 개인 테베를 누가 건설 했던가?
책에는 왕들의 이름만 적혀 있다.
왕들이 손수 바윗덩어리들을 끌고 왔을까?
그리고 몇 차례나 파괴된 바빌론
그 때마다 그 도시를 누가 일으켜 세웠던가?
건축 노동자들은 황금빛 찬란한 도시 리마의 어떤 집에서 살았던가?
만리장성이 완공된 날 밤
벽돌공들은 어디로 갔던가? 위대한 로마에는
개선문이 많기도 하다. 누가 그것들을 세웠던가?
로마의 황제들은 누구를 정복하고 개선했던가?
끊임없이 노래되는 비잔틴에는
시민들을 위한 궁전들만 있었던가?
전설적인 아틀란티스에서도
바다가 그 땅을 삼켜 버린 날 밤에
물에 빠져 죽어가는 자들이 그들의 노예를 찾으며 울부짖었다.
젊은 알렉산더는 인도를 정복했다.
그가 혼자서 해냈을까?
시저는 갈리아를 토벌했다.
적어도 취사병 한 명쯤은 데려가지 않았을까?
스페인의 필립왕은 자신의 함대가 침몰 당하자
울었다. 그 말고는 아무도 울지 않았을까?
프리드리히 2세는 7년 전쟁에서 승리했다. 그 말고도
또 누군가 승리하지 않았을까?
역사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승리가 하나씩 나온다.
승리의 향연은 누가 차렸던가?
십 년마다 한 명씩 위대한 인물이 나타난다.
그 비용은 누가 지불했던가?
그 많은 사실들.
그 많은 의문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