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만찬 - 공선옥 음식 산문집
공선옥 지음 / 달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1. 충무공은 종종, 회사를 그만 둔 뒤엔 뭘 해먹고 살까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그때마다 빼놓지 않고 생각하는 업종이 <떡국장사>다. 명동 어딘가 쯤에(그러니까 말하자면 충무공의 회사 근처에) 작은 떡국집을 열어서 아침과 점심에는 '내가 끓인' 떡국을 팔고, 점심과 저녁에는 빨갛게 끓인 경상도 특유의 소고기 콩나물국을 끓여서 팔면 대박이 날거란다. 대박이야 나겠지만 남는 건 없을텐데.
2. 충무공은 내가 끓인 떡국을 좋아하는데, 어느정도냐면, 어느해인가의 설날 아침 시댁에서 시어머니가 떡국을 끓이러 부엌으로 들어가자 부리나케 따라 들어가 "어머니, 떡국은 다인엄마더러 끓이라고 하세요." 라고 말을 할 정도다.(아들이란 키워봐야 다 이런다. 그래서 난 딸만 낳았다. 아, 참 잘했다. ^_______^) 우리 시어머니, 결혼하고 첫해 설날, 우리 아들들은 떡국을 싫어해, 라더니 웬걸 형님 말씀을 들어보니 아주버님도 충무공만큼이나 떡국을 좋아한단다. 그러니까 어머님의 아들 둘은 어머님의 떡국을 싫어했나보다. 피식.
3. 사실은 나도 친정엄마의 떡국을 싫어했다. 친정에서는 멸치다시물로 떡국물을 쓴다. 그나마도 어렸을때 설이라고 집에서 떡국을 먹은 기억은 별로 없고, 잘사는 외가집이나 가야 떡국을 먹을 수 있었다. 외숙모 떡국의 국물 베이스가 멸치였는지 소고기였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반드시 있었던 게 소고기를 볶아 만든 고명이었다. 어렸을 때는 국물에 풀어지는 그 소고기가 그렇게 맛있을 수가 없었다. 똑같은 계란인데도 황백 지단으로 부쳐 놓은 계란은 그지없이 화려했고. 어느해엔가 내가 하도 떡국을 잘 먹어 굳이 떡국떡을 조금 얻어와서 집에서 먹으라 끓여주었더니 먹지도 않는다고 등짝을 얻어맞기도 했다. 엄마의 떡국은 멸치비린내가 너무 강했고, 내가 그렇게 좋아하던 소고기 고명도 없었다. 어린마음에, 그 소고기 고명은 부유한 외가의 상징 같았다.
4. 나는 양지로 국물을 내서 떡국을 끓인다. 나의 떡국은 시어머니의 것과도 친정엄마의 것과도 외숙모의 것과도 다르다. 나는 최고급 양지를(난 좋은 고기를 보면 떡국을 끓이고 싶어한다.) 작게 썰어 달군 냄비에 참기름을 조금 두르고 달달 볶아 물을 붓고 국간장으로 간을 한 뒤 푹 끓여 국물이 우러나면 거기에 떡국을 집어 넣고 계란을 풀고 파를 썰어넣어 끓인다. 먹기 전에 구운 김을 바수어 넣어준다. 충무공은 내 떡국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재작년 8개월간 혼자 외국생활을 하며 두달에 한번씩 집에 돌아올 때, 무조건 한두끼는 떡국을 먹기를 원했을 정도다. 계절이나 세시에 관계없이. 우리집은 떡국을 아무때나 먹었다. 한국에선.
5. 이곳에서는 1++ 등급은 고사하고, 양지다운 양지를 구할 수가 없다. 한우가 얼마나 우월한 품종의 소인지, 외국에 나와보면 알게된다. 특히 국을 끓여보면, 소고기 특유의 누린내가 핏물을 빼도 빼도 빼도 지워지지가 않는다. 이것저것 사다가 시도해 보았으나 매번 실패였다. 한국에서 끓이던 것처럼, 달군 냄비에 소고기를 달달 볶아 물을 부어 끓이는 방법으로는 도저히 먹을만한 떡국이 나오지를 않았다. 결국 양지(라고 짐작되거나 점원들이 주장하는 부위)를 뭉근하게 고아 육수를 내고, 거기에 소고기를 볶아 고명을 올렸다. 남편도 나도 떡국 국물에 풀어진 소고기의 깔깔함이 싫었다. 한때는 그렇게 맛있었던 소고기 고명이, 어쩌면 그렇게 맛이 없는지.
6. 외가에 가서 떡국을 먹을때면, 국물에 떡만 담긴 그릇이 나오고 고명이 담긴 그릇 네개가 상 위에 놓여있었다. 황백지단과 볶은 소고기와 김. 나는 볶은 소고기를 양껏 푹푹 덜어넣어 먹고 싶었지만 외숙모의 눈치가 보여 그러지 못했다. 지금 생각하면 마음 좋고 우리 자매들을 특히 예뻐했던 외숙모, 게다가 음식 인심까지 좋았던 외숙모가 까짓 소고기 고명 따위로 눈치를 준다거나 했을리는 없을텐데 혼자 그렇게 눈치를 봤다. 그 소고기 고명, 이제는 넘치도록 먹을수가 있게 되었는데, 양력설이 보름이나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집 냉동실에 그대로 있다. 아무도 안먹는다. 내일은 우리 애 밥 볶아 먹일때나 넣어먹여야 겠다. 에이 참. 맛도 없다.
추어탕은 내게 가을의 풍성함과 함게 내가 가지지 못한 것들에 대한 결핍감을 동시에 일깨우는 음식이 되었다. 추어탕을 먹을 때면 기쁨과 슬픔을 함께 먹는 기분이 든다. 나는 아버지에게서 토지를 물려받지 못한 가난한 할아버지의 작은아들의 딸이다, 작은집 애다. 작은집들은 추어탕을 별로 안 끓여 먹는다. 더구나 딸만 있는 작은집이니. 추어탕은 아들 많은 큰집들에서 끓인다. 가을 저녁이면 세상의 큰집들은 아들들이 잡아온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이느라고 부산하다.
p. 232
그때, 멸치비린내 가득하던 엄마의 떡국을 그냥 좀 참고 먹을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