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을 왜 하지? - 꼼꼼하게 들여다본 아홉 개의 수업 장면
서근원 지음 / 우리교육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오랜 기간 초등학교 교사를 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는 교육 인류학을 공부하고 있다는 저자가 쓴 수업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담긴 글들. '초등 우리 교육' 잡지에 연재되었던 글을 모아서 책으로 펴낸 것이다.

저자는 초등학교 선생님들의 수업 관찰을 통해서 교사가 수업을 할 때 고민해야 할 것이 무엇이며,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지, 또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지 등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담아내고 있다.
각각의 글은 실제 수업 장면에 대한 관찰로 시작되는데, 교사가 하는 말 하나하나, 학생들의 태도나 대답, 교실의 분위기 등을 그대로 글로 옮겨 놓아 실제로 내가 그 수업을 참관하는 느낌이 들게 한다. 또 현장 경험이 많은 저자가 우리 학교 현실에 밀착된 문제를 지적하고, 또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나처럼 어려운 글, 추상적인 글에 대해서 거의 난독증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도 아주 재밌고 쉽게 읽을 수 있다. 
글의 구성 면에서 또 하나 좋았던 점은 좀처럼 수업 공개를 하지 않는 우리 나라 교사들의 풍토에서 이렇게라도 여러 유형의 수업을 들여다 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사실 교사가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고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교사를 기를 때나 교사를 뽑을 때나 교직 실무의 전문성이 그 중심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올해 처음 중학교에서 교직 생활을 시작한, 수업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아직 감을 못 잡은 교사로서, 이런 부분도 내게는 도움이 많이 되었다.

나는 애초에 교직이나 학교에 대해 어떤 이상적인 상을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 기대한 것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교사로 살아간다는 일이 밖에서 보아왔던, 또는 내가 학생 시절에 선생님들을 관찰해 왔던 것과는 너무나 다르다는 것을 학교에 출근한 지 며칠만에 절감하게 되었다. 
교직에 들어서기 전에는 막연히 교사는 수업만 잘하면 되지, 하고 생각해 왔는데-
교사들에게 수업보다 우선시하여 처리해야 하는 수많고 잡다한 행정 업무들이 있다는 것, 수업보다는 학급 경영, 학생 생활 지도가 일의 우선 순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특히 주당수업시수가 많은 과목의 경우에는 수업이 너무나도 눈 깜짝할 사이에 일상화되어 버릴 수 있다는 것, 이래서 '수업만 잘하는 것'이 우리 나라 학교 현실에서 정말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이제는 200% 절감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래서 특히 '교사는 왜 수업에 전념할 수 없는가' 라는 장을 읽으면서 정말정말 공감하고, 분개하기도 하고, 가려운 부분을 정확히 긁어주는 것 같아 속이 시원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장은 우리 나라 교육부 장관, 대통령에게 꼭 읽혀야겠다는 생각까지 들 정도였다.

혹시 나는 중등 교사인데, 이 책은 초등 학교 수업에 대한 이야기이네, 나랑 별 상관이 없을지 모르겠어, 라고 생각하는 선생님들이 계시다면, 주저하지 말고 이 책을 보시라고 얘기하고 싶다. 이 책을 읽은 바에 의하면, 내가 있는 중학교나 여기에 나오는 초등 학교나 수업과 관련하여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들은 비슷했고, 또 수업이 어때야 하는가, 라는 기본적인 문제는, 파고 들어가면 학교급을 넘어서는 논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로서 자신의 수업에 불만이 많은 분들, 어떻게 수업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에게 이 책은 정말 생각할 여지를 많이 주고, 반성도 많이 하게 한다. 많은 교사들이 이 책을 읽고, 같이 고민하고, 같이 문제를 해결하고, 그래서 우리 나라에 좋은 수업을 하시는 선생님들이 점점 많아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

※ 그런데 교직에 있지 않은 분들이 이 책을 읽으면 공감도도 떨어지고 별로 재미 없어 하실 수도 있을 것 같다;;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맹이 2007-01-04 1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가 벌써 그렇게 큰가요? *_* 음... 왠지 학부모가 이런 책 선물하면 교사들은 '내가 요즘 수업 잘 못하고 있나? 아이가 집에 가서 내 수업에 대해 무슨 나쁜 소리라도 했나?' 하고 고민하게 될 것 같은데요;;; ^^;;;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는가 - 문정희

학창 시절 공부도 잘하고
특별 활동에도 뛰어나던 그녀
여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입시에도 무난히
합격했는데 지금은 어디로 갔는가

감자국을 끓이고 있을까
사골을 넣고 세 시간 동안 가스불 앞에서
더운 김을 쏘이며 감자국을 끓여
퇴근한 남편이 그 감자국을 15분 동안 맛있게
먹어치우는 것을 행복하게 바라보고 있을까
설거지를 끝내고 아이들 숙제를 봐주고 있을까
아니면 아직도 입사 원서를 들고
추운 거리를 헤매고 있을까
당 후보를 뽑는 체육관에서
한복을 입고 리본을 달아주고 있을까
꽃다발 증정을 하고 있을까
다행히 취직해 큰 사무실 한켠에
의자를 두고 친절하게 전화를 받고
가끔 찻잔을 나르겠지
의사 부인 교수 부인 간호원도 됐을 거야
문화 센터에서 노래를 배우고 있을지도 몰라
그리고는 남편이 귀가하기 전
허겁지겁 집으로 돌아갈지도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을까
저 높은 빌딩의 숲, 국회의원도 장관도 의사도
교수도 사업가도 회사원도 되지 못하고
개밥의 도토리처럼 이리저리 밀쳐져서
아직도 생것으로 굴러다닐까
크고 넓은 세상에 끼지 못하고
부엌과 안방에 갇혀 있을까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는가

(다음 까페에서 퍼 온 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브로크백 마운틴
애니 프루 지음, 조동섭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미국 와이오밍 주를 배경으로 한 11편의 단편 소설 모음집.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점점 소외되고 있는 지역, 황량한 자연만큼이나 거칠고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곳, 와이오밍. 여기 나오는 등장 인물들은 살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되는 일은 얼마 없다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자신의 몸 속에 숨어 있는 자연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간다. 때로는 자신의 행동을 자기 스스로도 이해하지 못하는 채.
내가 한 번 가 보지도 못한 곳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나와는 아주 거리가 먼 등장 인물들이 주인공으로 나오고 있지만, 이 작품은 살아가면서 겪는 이들의 절망이나 고통이 그대로 내게까지 와 닿을 수 있도록 잘 쓰여져 있다.

이 소설들의 문장은 정말 말할 수 없이 아름답다. 특히 <외딴 해안>과 <브로크백 마운틴>의 경우 작품 전체를 밑줄긋기 해두고 싶을 만큼 문장 하나하나가 아름답고 마음에 와 닿았다. 하루키 이후로 이렇게 참신하고 감성을 자극하는 비유를 쓰는 작가를 처음 보았다. 번역본임에도 불구하고 문장의 아름다움을 이 정도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번역 자체도 신경을 많이 쓴 티가 난다.)

영화화되어 많이 유명해진 <브로크백 마운틴>의 경우 역시 이 소설집의 백미이다. 나는 영화를 먼저 보았는데, 소설을 읽는 내내 영화 생각이 나서 조금 안타까웠다. 소설을 먼저 접했다면 더 감동적으로 읽을 수 있었을 텐데.. 내용을 미리 알고 있는 상태에서 소설을 읽는 것만큼 싱거운 일도 별로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소설을 다 읽고 나니 영화가 아주 잘 만들어졌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벌거숭이 소>, <블러드 베이>, <목마른 사람들>, <아름다운 박차>, <주유소까지 55마일> 등은 그 지역에서 전해 내려 오는 설화를 모티브로 쓰여져 있는데, 그만큼 우의적이고 생각할 여지를 많이 주는 매력적인 작품들이었다.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에서 주인공 와타나베의 선배인 나가사와는 이런 말을 했다. 나는 죽은 지 30년이 채 안 된 작가의 책은 읽지 않는다고. 만약 그랬다가 이와 같이 아름다운 소설집을 놓친다면 그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우리 인생의 단면들을 아름답고도 날카롭게 잘라서 보여주고 있는 점이 아주 탁월하지만, 분위기가 너무 어두워 읽고 있으면 힘들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별 한 개를 뺐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픽팍 2006-11-06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소설 읽으면서 왠지 잘 만들어진 다큐멘터리를 보는 기분이었다고나 할까요?작가가 원래 기자출신이어서 그런지 묘사에 군더더기가 없고 굉장히 사실적이지요. 글 잘 읽었습니다.

알맹이 2006-11-06 16: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그런가요? 예리하시네요~ 저도 그런 면에서 아름다움을 느꼈나 봅니다~ 그런 드라이한 작풍을 좋아하거든요 ^^;;
 
 전출처 : 이매지 > 보름달이 지고난 자리, 일산식 월남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USS Thresher (SSN-593)

The second USS Thresher (SSN-593) was the lead ship of its class of nuclear-powered attack submarines in the United States Navy. Her loss at sea during deep-diving tests in 1963(10 April) is often considered a watershed eve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orous submarine safety program SUBSAFE.

-- Wikipedia

Loss of USS Thresher

In company with SKYLARK (ASR-20), THRESHER put to sea on 10 April 1963 for deep-diving exercises. In addition to her 16 officers and 96 enlisted men, the submarine carried 17 civilian technicians to observe her performance during the deep-diving tests. Fifteen minutes after reaching her assigned test depth, the submarine communicated with SKYLARK by underwater telephone, apprizing the submarine rescue ship of difficulties. Garbled transmissions indicated that--far below the surface--things were going wrong. Suddenly, listeners in SKYLARK heard a noise "like air rushing into an air tank"--then, silence.

Efforts to reestablish contact with THRESHER failed, and a search group was formed in an attempt to locate the submarine. Rescue ship RECOVERY (ASR-43) subsequently recovered bits of debris, including gloves and bits of internal insulation. Photographs taken by bathyscaph TRIESTE proved that the submarine had broken up, taking all hands on board to their deaths in 5,500 of water, some 220 miles east of Boston. THRESHER was officially declared lost in April 1963.

Subsequently, a Court of Inquiry was convened and, after studying pictures and other data, opined that the loss of THRESHER was in all probability due to a casting, piping, or welding failure that flooded the engine room with water. This water probably caused electrical failures that automatically shutdown the nuclear reactor, causing an initial power loss and the eventual loss of the boat.

-- http://www.submarinehistory.com/Thresher.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