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화의 실루엣 - 그리스 비극 작품을 중심으로 빠져드는 교양 미술
박연실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정말 재밌게 읽은 책입니다. 이 책 읽기 전에 '키르케'와 '아킬레우스의 노래'라는 책을 읽고 그 이전에는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를 읽고 또 최근에는 곰브리치 '서양 미술사'라는 책을 읽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저는 재밌게 읽었어요.
한편으로는 저 같은 사람들을 위해 명화 해설을 이런 식으로 풀어주는 책이 또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만큼 좋았어요.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바로크 형식, 로코코 형식, 인상파, 후기인상파 처음 이런 용어들이 굉장히 낯설게 다가왔었습니다. 하지만 이 용어들도 반복해서 들으니 더군다나 명화 속 인물들이 왜 이런 구도와 설정으로 회화 되었는지 알고 나니 용어도 그림도 더 친근하게 다가오더라고요. 역시 배경지식은 무시 못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인물들의 희로애락이 왜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것일까요? 여러분 막장 드라마가 인기 많으신 거 아시죠? 최근에 방영된 팬트하우스!!! 저는 개인적으로 이 드라마의 인기 비결이 바로 신화 속 스토리와 그 맥이 같다고 봅니다. 완전한 선도 완전한 악도 아닌 등장인물들! 그리고 '우연'과 '운명'이 얽히고설켜 개인에게 영달을 안겨주기도 앗아가기도 합니다. 또한 인간 내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도 하지요. 적어도 저는 그리 봅니다.
이 책은 총 3극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리스 대표 희곡 작가 세 분이 나오시는데요. 바로 아이스퀼로스, 에우리피데스, 소포클레스 이렇게 세 사람입니다. 비극 작가 출신답게 눈물 없이는 들을 수 없는 그런 재밌는 이야기들이 한거시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이야기 속 장면을 그려놓은 명화는 훨씬 몰입도를 높입니다.
이뿐만 아닙니다. 신화가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다가 글로 남겨져서 그런지 비슷한 스토리에 결론은 다양하게 펼쳐지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라본 화가들마다 인물의 피부색이나 머리카락 손짓 등을 통해 의미를 담았고, 각 그림마다 차이가 있다보니 더 그림에 집중 되더라고요. 그리고 익숙하게 봐왔던 그림들은 아... 이 장면은 이런 의미를 담아낸 거였구나 하며 명화에 대한 기본 틀을 잡을 수 있어서 저는 좋더라고요.^^ 자유로운 감상도 좋지만,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 보는 것도 숨은 그림 찾는 거 마냥 재밌더라고요^^
첫 이야기는 그리스군이 트로이를 가야 하는데 바람이 불지 않아 배가 출항을 못하고 있던 상황이었지요. 아참 그리스군이 왜 트로이를 가냐구요? 이게 다 여자의 미모 때문에 벌어진 일... 아가멤논에게는 메넬라우스라는 동생이 있었는데요. 아내 헬레네가 미남인 파리스에게 꼬여서? 아님 눈이 맞아서? 트로이로 도망을 갑니다. 메넬라우스는 헬레네를 되찾기 위해 전쟁을 불사하게 되지요. 그런데 출항을 앞둔 배들이 몇달째 바람이 안 불어서 나가지를 못하는거예요. 이 상황에서 아가멤논은 신탁을 받게 되고, 결국 자신의 딸 이피게네이아를 죽여 제물로 삼습니다.ㅠㅠ 이 사실을 안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이를 바득바득 갈며 복수의 칼을 갈지요. 네 다들 예상하셨다시피... 자신의 딸을 정치적으로 이용해 죽음으로 몬 아가멤논은 그의 아내 클리타임네스트라와 정부인 아이기스토스의 손에 죽임을 당합니다. 여기서 끝나면 좀 양반입니다. 하지만 이야기는 막장을 향해 신발 끈을 다시 조여 맵니다. 바로 클리타임네스트라가 자신의 친 아들인 오레스테스에게 죽임을 당하거든요. 이거 막장 맞죠?
참 하나하나 다 들려드리고 싶지만, 제가 이야기 해드리는것 보다 책으로 보시는게 훨씬 재미있으실거예요. 잔혹하기 그지 없는 메데이아, 고고한 죽음을 택한 안드로마케, 친구와의 우정을 중시했던 헤라클레스. 친 아버지를 죽이고 친 어머니와 결혼하게 되는 오이디푸스, 덩치는 산만한데 늘 꾀돌이 오디세우스한테 뒤쳐져서 결국 열받아? 스스로 자폭한 아이아스 등등 재밌습니다. 그러니 이번 기회에? 그리스 로마 신화에 발을 한번 들여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그 첫발 내딛기에 딱 좋은 책이 바로 '명화의 실루엣'이 아닌가 싶어요. 일단 이야기 하나하나가 구분 지어져 있고, 이야기 속 장면은 명화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전달됩니다. 그러니 책 읽는 맛이 쏠쏠하더라고요. 그리고 이야기 주제는 같아도 작품 표현은 다르더라고요. 구도나 해부학을 참고로 한 근육의 표현이나 특히 얼굴... 어쩜 그리도 미남들이 많은지... 읽기도 바쁜 와중에 그림만 수분씩 본 1인이랍니다.^^
명화도 감상하고 신화도 즐기고 이를 두고 일석이조, 꿩 먹고 알 먹고라고 하는 거겠죠? 개인적으로는 또 이런 책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이 도서는 이담북스 지원도서로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