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누가 당신의 인생을 그저 그렇다고 하는가 매일 읽는 철학 1
예저우 지음, 정호운 옮김 / 오렌지연필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니체, 누가 당신의 인생을 그저 그렇다고 하는가 | 예저우 (지음) | 오렌지연필 (펴냄)



 삶 그 자체를 온전히 사랑했던 남자, 니체


니체의 사상은 이해하기 어렵고 난해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를 표면상으로만 알고 있었기에 나는 그가 삶에 대해 이렇게 밝고 아름다운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는 모르고 있었다. 아마도 그의 순탄치 않았던 생애 때문에 그런 인상을 받았는지도 모른다. 나의 이런 편견에 따뜻한 시선을 보낸 작가가 있었으니 바로 예저우다. 그는 베이징사범대학 특별 초빙 교수이며, 심리학 박사이자 심리상담사, 긍정 전도사라는 타이틀을 가진 인물이다. 그래서일까? 그의 글 전반은 니체의 어둡고 무겁고 침체한 느낌의 사상을 독자들이 접근하기 쉽게 밝고 친근감 있게 안내하고 있었다. 니체가 직접 언급한 말을 시작으로 다양한 예화를 들려주며, 그 예화들을 통해 니체의 생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었다. 그래서 내게는 니체의 사상이 한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은 총 7챕터로 나누어져 있다. 첫 챕터부터 니체가 말하는 심성, 사고, 고난, 감정, 사회생활, 품격, 그리고 행동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니체는 인간의 감정이 중요하다고 보았는데, 오늘날 심리학자들이 밝힌 사실을 니체는 한발 앞서 직관적으로 알고 있었다. 니체에 의하면 인간은 이성의 힘이 사실 생각하는 것만큼 그리 크지 않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니체의 언급은 오늘날 심리학 연구 성과와 놀랍게 일치한다.                                                                                                                                                                  

아무튼 직감과 잠재의식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사실 인간 행위 전반이 의식으로 결정된다기보다는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이 더 많다. 직감은 여러 면에서 이익을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불행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러나 직감은 시간이 촉박하거나 일이 많을 때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인간은 상황 속 생물이며 상황이 우리를 만들었고 미래의 여러 가능성을 결정한다고 보았다. 즉 환경이 인간 생존에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보았다. 그의 이 낙인 사상은 많은 교육학자와 심리학자에게도 하나의 영감을 안겨주게 된다. 더 나아가 인간이 가진 가장 큰 장점으로는 독창성을 꼽았는데, 인간은 아직 미정형의 동물이기 때문에 한결같이 변하지 않는 기정적 본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래서 스스로를 변화시키고자 조각하고 초월하고 창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모든 것을 인간의 자유의지로 이뤄진다고 보았다.


니체는 삶 자체를 사랑한 인물이라는 사실을 예저우의 안내에 의해 하나씩 알 수 있었다. 그는 한 개인이 가져야 할 자세로는 올바른 심성과 긍정적 사고를 그리고 그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 맺음에 대해서는 예절과 책임감으로 뜻한 바를 실천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었다. 인간은 어차피 미정형의 인물이기 때문에 우리는 생을 통해 끊임없이 초월 의지를 키워나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 보았다.


그래서 나는 그가 진보적인 생각을 가진 철학자라는 결말을 얻게 된다. 우물에 고인 물이 아닌,,, 끊임없이 자신의 모습을 진화시켜 나가며 깨우치고 성장시켜 나가는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정 삶을 사랑하고 사랑하기 때문에 최선을 다해 그 삶을 완성시켜 나아가야 한다는 그것이 바로 니체가 생각하는 인간이란 존재에 대한 정의라는 느낌이 들었다.  


예저우의 생각을 통해 니체의 글을 접해서 니체 본연의 생각에 얼마나 가까이 다가갔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니체의 사상이 어렵고 난해하다는 생각, 조금은 비관적일 것 같은 나의 생각에 대해 교정 역할을 해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혹 니체에 대해 접근도를 높이고 싶고 그의 사상을 통해 우리의 삶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독자가 있다면 그의 책을 펼쳐 볼 것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