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 - 모든 것이 가능한 나는 누구인가?
김선중 지음 / 원너스미디어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아이 ㅣ 김선중 (지음) ㅣ 원너스미디어 (펴냄)
우리네 삶에서 굴곡을 경험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세상에 나 혼자라는 느낌이 들거나, 나를 도와줄 그 어떤 존재도 없다고 느끼거나, 외롭고 혼자라는 생각이 들거나, 아마 이런 시간을 인간이라면 한 번쯤 경험해 보리라... 김선중의 아이라는 책은 머피의 법칙과 샐리의 법칙을 대조해가면서 내가 이 세상에서 그 어떤 존재보다 소중하고 존중받을 존재, 모든 것이 가능한 존재로 규정짓는다. 즉 자신을 사랑하고 자신을 믿고 자신에게 힘을 실어줄 대상은 결국 자기 자신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힘든 선택을 하는 사람들에게 반문해 본다. 늘 같은 패턴의 인생을 살지 않았느냐고 말이다. 그와 같은 패턴의 연결고리에는 분명 인과가 존재하고 있으며, 스스로가 그 인과의 원인을 분명히 바라보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특히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기 어려운 사람, 자신의 감정이 어떤 감정인지 그 감정의 색깔을 스스로가 잘 파악되지 않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잘 들여다볼 것을 주문하고 있다. 사실은 힘들고, 괴롭고, 온갖 어려움에 놓여있어도, 자신의 힘든 감정을 표출하지 않는 사람. 혹은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이 현대 사회 들어서서 더 만연되어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사회생활은 어떤 측면에서는 밀림의 정글과 같은 환경이기도 하다. 이런 환경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출한다는 것은 참 어려운 주문일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요즘은 이성보다는 감성에 더 관심을 쏟는 건지도 모르겠다. 우리의 감정 즉 우리가 선택하는 삶이 늘 같은 패턴으로 돌아갈 때 왜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지 자신의 내면을 깊게 들여다볼 필요성을 강조한다.
만약 과거의 어떤 트라우마가 있다면 그 트라우마의 경험을 부정하거나, 반성할 것이 아니라 조망해 보는 것이다. 아... 그런 사실이 있었구나... 바라보는 것이다. 만약 내가 사과를 해야 하거나 용서를 구할 일이 있다면 진심으로 용서를 구해 보는 것이다. 이 모든 행위는 샐리의 법칙에 해당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모든 것이 가능한 내가 할 수 있고, 나를 위해 하는 일이기도 하다.
김선중은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이 책을 쓰게 된 배경을 들려준다. 그리고 자신이 어떤 과정을 거쳐 기나긴 터널 같은 삶을 벗어나게 되었는지, 현재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를 들려준다. 샐리의 법칙은 긍정적인 기운을 말한다. 긍정의 기운은 긍정의 사람들을 만나게 해주는 힘이 있다. 머피의 법칙은 누군가를 탓하고 누군가를 원망하는 부정적인 기운을 말한다. 머피의 법칙 역시도 부정적인 기운의 사람들을 만나게 한다.
총 5파트로 나누어져 있는 이 책은 첫 파트에서 진정한 행복은 '나'를 아는 데서 출발한다고 적고 있다. 내가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있는 것, 내가 아는 것이 진정 사실인지 혹 내가 알았다고 하는 사실이 실은 이야기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 이를 잘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파트 2에서는 삶에서 샐리와 머피는 무엇인지 파악해 보는 것이다. 특히 ~~인척하는 삶을 지양해야 함을 괜찮은 척, 안 아픈 척, 어떤 척을 하며 살 필요가 없음을... 진실된 자아와 만나 진실된 행복을 찾아가는 방법이 샐리의 법칙에 숨겨져 있음을 역설한다.
파트 3에서는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법칙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즉 이들은 긍정의 힘을 바라보며 스스로도 긍정의 기운으로 가득 차 있다. 이들의 기운은 다른 긍정의 기운을 끌어들인다. 파트 4에서는 우리는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무한 가치를 가진 존재라는 점, 우리는 가능성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가는 존재라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마지막 파트 5에서는 이런 힘을 지속적으로 이어 가기 위해서는 생각을 하고 그 생각은 감정을 낳고 그 감정은 행동을 이끌며 행동은 결과를 만든다. 저자는 셀리스페이스를 언급하는데 셀리스페이스란 서로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 진실을 견지하고 물러나지 않는 것, 서로의 꿈이 실현되도록 사랑으로 지지하는 공간이라고 말한다. 셀리리더십을 통해 자신의 삶을 리드하기로 결심한다면 우리 모두가 셀리스페이스 속에 함께 하는 사람들이 될 것이며, 이런 사람들이 만든 팀을 통해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님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혹 자신의 삶이 늘 반복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 든다면, 그리고 그러한 삶에 변화를 주고 싶다면 김선중의 아이를 한번 읽어보면 어떨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