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 왔다 - 2000년 제31회 동인문학상 수상작품집
이문구 지음 / 문학동네 / 2000년 6월
평점 :
품절


충청도 사투리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정겨운 느낌이 들때도 있고 때로는 듣기에 따라서 서운함을 먼저 느끼기도 한다.  팔도 사투리 중에 가장 단순하고 또 가장 쉬운면서도 막상 직접 따라해 보거나 음미해 보면 충청도 사투리만큼 어려운 게 없다고 한다. 이러한 특징을 사전에 조금이라도 알지 못하고 무작정 책읽기에 나섰다가는 낭패보기 쉽상이다. 우선 낱말 자체 부터가 보기에, 듣기에 낯선 데다가 충청도 사람 특유의 미묘한 감정이 실리는 억양이나 말하는  이의 심리를 제대로 간파하지 않고서는 일단 작품은 고사하고 언어조차 이해할 수가 없는 것이 바로 충청도 사투리다


이문구는 어렵다. 그리고 그가 구사하는 충청도 사투리와 그 사투리로 표현되는 그의 작품도 완주에 많은 인내를 요구한다. 속독파는 십중팔구 이문구에게서 실패하리라. 그 속독파가 만일 자신은 이문구에게서도 쉽게 성공하였다고 자평한다면 나는 곧이 곧대로 믿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어려운 책읽기 환경속에서도 이문구를 찾게 되고 그를 잊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그가 줄기차게 추구하고 있는  옛 추억으로의 서정과 그 추억속에서 살아 숨쉬는 정감어린 인간들의 모습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삼촌, 어머니들이자 우리 친구요 그대로 나 자신인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그런 풍경과 상황은 사투리가 아니면 제대로 표현할 수 없으리라고 이문구는 판단하였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한가지 아쉽다. 작가가 문학활동을 벌여 상을 받는 것을 추호도 비난할 생각은 없다. 그런데 그 상을 주관한 신문사를 향하여 수상소감으로써 찬사를 보내는 모습은 바라보기에 민망하다. 작가는 작가로서 자유로이 활동하면 되는 것이지 특정 신문사가 수상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벌였던 선정주의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외면하면서 수상이 자기에게로 귀결되자 문학을 생각하는 언론 운운하는 것은 그냥 형식적인 인사치레로 봐주기에는 너무 속이 들여다 보일뿐 아니라 다른 부문에서 행해온 그 신문사의 과오를 이문구가 나서서 은폐할려는 의도로 비치지 않을까 하여 심히 우려스럽다. 부디 내가 오해하고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