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호사가들이 부르기 좋게 붙인 말일까. 아니면 정말로 엇비슷한 예술적 경지를 개척한 무리들을 한 묶음으로 분류하다 보니 우연찮게 돌림말로 이름지은 것일까. 우리가 국사에서 배웠듯이 흔히 3원이라 하면 단원 김홍도, 오원 장승업, 그리고 혜원 신윤복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들에 대한 네임밸류는 사뭇 다르다. 당연히 단원 김홍도는 조선시대 최고의 화가인 동시에 단군이래 한민족 5천년을 통틀어 또한 최고로 꼽힌다(물론 이의제기자도 있다). 오원 장승업은 조선시대 3대 화가다. 단원 김홍도, 현동자 안견과 더불어서 말이다. 그런데 혜원은 그냥 3원 중 하나이다. 호에 원이라는 공통 글자가 들어가서 다른 대가들과 두루뭉실하게 어울리게 된 흔적이 역력하다. 이것이 역사적 사실이든 어떤 오해에서 빚어진 편견이든 아니면 무지몽매한 중생들의 무식의 소치든 아무튼 우리 일반인들 사이에 각인된 혜원의 보편적인 이미지는 대충 이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으리라 본다.


그런데 혜원에게 이보다 더 불행한 것은 이러한 시야를 확 바꿔 줄 후대의 자손들이 좀처럼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적어도 지금 이시대까지는 말이다. 그림 소재가 대체로 이성간 유희, 남성의 관음증, 심야의 불륜 등을 중심으로 한 것이어서 보기에는 흥미로우나 파헤치기에는 별다른 가치를 느끼지 못해서 일까?


게다가 혜원은 워낙이 베일에 가려진 비밀스러운 인물이다. 단원은 졸년을 알 수 없으나 혜원은 졸년뿐만 아니라 그의 사회활동 자체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며 따라서 그의 예술적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는 오로지 세상에 남겨진 작품뿐이다. 그림의 소재로 인하여 지배계급 또는 사회주류로부터 배척당하였음이 분명하다. 그러니 어느 누구도 동시대의 혜원을 탐구하고자 변변한 평론 한마디 남겼을 리 없고, 당대에 남겨진 게 없으니 후대의 연구성과도 자연 박약할 수 밖에....


본서도 혜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니다. 단지 혜원의 그림을 통해 그 당시 사회상을 개괄적으로 조명해 보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본디 인물 평전을 기대한 나에게는 그런 점에서 약간은 불만이나 이 땅 혜원에 대한 척박한 인정을 감안할 때 그나마 저자의 이런 성의가 고맙게 느껴질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